학술논문
PATHS 기반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418
- 영문명
- The Effect of PATHS-Based Collective Art Therapy Program on the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윤지민(Yoon Ji-Min) 공마리아(Kong Maria)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9권 제1호, 45~6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1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PATHS 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J시에 소재한 M어린이집과 C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22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1명, 통제집단을 11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2019년 9월 16일부터 11월 1일까지 주 2∼3회, 사전 사후 검사를 제외한 총 17회기로 매 회기 50분씩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한 연구도구는 이혜원(2005)이 개발한 교사용 사회적 유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t검증을 하였고, 효과검증을 위해 사전-사후-추후 점수를 이용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d ANOVA)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결과, 사회적 유능감은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그 효과는 지속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PATHS 기반 집단미술치료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roblem Adaptation Therapy (PATHS)-based collective art therapy on the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selected as those who were 5 years old and had been attending M or C nursery in J city. Each of the 11 young children was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s. For the experimental group, PATHS-based collective art therapy was administered from September 16 to November 1, 2019; therapy consisted of two to three sessions a week for a total of 17 sessions, excluding the pre-and post-examinations, for 50 minutes each session. The Development of a Social Competence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which was developed by Hyewon Lee et al. (2005).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peated-measures ANOVA was performed with the pre-test sco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ATHS-based collective art therapy positively affected on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and the effect was sustained.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on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ddre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황장애 성인여성을 위한 색채중심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 실용음악전공자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경험의 구조와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
- 학대 피해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국내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1996년~2020년을 중심으로)
-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비대면 미술치료에서의 윤리적 방향
- 긍정심리학을 활용한 학교미술치료가 고등학생의 행복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코로나19로 인한 블렌디드 러닝 적용 사례
- 초등학교 고학년생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에 따른 모자화 반응차이
- 성인여성의 우울 성향 선별을 위한 얼굴자극그림검사(FSA) 타당화 연구
- 비대면집단미술치료가 중년기 일본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PATHS 기반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