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네트워킹 행동 유형이 조직변화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지식공유의 매개효과
이용수 284
- 영문명
- The Effect of Networking Behavior Types on Organizational Readiness for Chang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 발행기관
- 한국성인교육학회
- 저자명
- 한송희(Song Hee Han) 홍아정(Ah Jeong Hong) 김시진(Si Jin Kim)
- 간행물 정보
- 『Andragogy Today』제24권 제4호, 43~6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조직변화는 글로벌 경쟁 시장에서 생존하기 위한 필수 전제 조건이다. 이 연구는 구성원들의 심리에 주목하고 변화에 대한 태도와 신념, 의도를 긍정적으로 이끌 수 있도록 하는 조직변화준비도에 주목하였으며, 네트워킹 행동을 내부와 외부로 나누어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지 실증하고자 하였다. 네트워킹 행동으로 인해 지식공유 과정이 일어나는 구조를 밝히고, 지식공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국내 기업 구성원 294명에게 설문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검증하였다. 첫째, 기업 구성원의 네트워킹 행동 중 외부 네트워킹 행동만 조직변화준비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 내 구성원들의 지식공유 역시 조직변화준비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구성원들의 네트워킹 행동과 조직변화준비도 간에 지식공유는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기업의 변화시도에 있어 성공여부를 기업주도가 아닌 구성원의 주도적 행동과 조직의 지식경영의 관점에서 주목하여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rganizational change is a prerequisite for companies to survive in this competitive global market. The study paid attention to the psychology of the members and the readiness for change that can lead to positive attitudes and beliefs or intentions for change, and to demonstrate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impact by dividing networking behavior in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influence this. In addition, it attempted to clarify the structure in which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occurs due to networking activitie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First, only external behavior among networking behaviors of corporate members had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Knowledge shar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hange readiness. Since knowledge sharing is based on trust, social capital is formed, which is a phenomenon that occurs in an environment with low anxiety. Third, networking behavior affects readiness for change through knowledge sharing. This is because networking behavior is largely based on communication, so there is an essential process in which knowledge is exchanged with each other. Finding ot the study implicates that the success in corporate change attempts was found from the perspective of members-led rather than corporate-led, and focused on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o uncover the effec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