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장애 자녀 어머니의 모성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127
- 영문명
- An Autoethnography on the Maternal Experienc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성인교육학회
- 저자명
- 최수미(Sumi Choi) 김성길(Seonggil Kim)
- 간행물 정보
- 『Andragogy Today』제24권 제4호, 68~91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자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모성 이데올로기 규범 안에서 발달장애자녀를 양육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어머니의 개별적 모성 경험에 대하여 성찰해 나가는 과정을 담아냈다. 연구결과는 첫째, 발달장애어머니로서 나는 자녀의 질병과 장애를 자신의 탓으로 돌리며 죄책감을 느낀다. 어머니는 자녀의 질병으로 인하여 원인 제공의 비난을 받기도 하고 이상적인 좋은 어머니 역할 사이에서 갈등한다. 둘째, 개선되기 어려운 자녀의 장애로 인하여 어머니 역할을 잘 해내지 못한다
는 비난은 더욱 강화된다. 장애극복 신화는 어머니 역할을 잘 해내지 못한다는 죄책감을 가중시키며, 끝없는 돌봄과 함께 비난은 지속된다. 셋째, 이상적인 어머니 역할을 내려놓고 완벽할 수 없는 자신을 성찰한다. 자녀와 심리적 분리를 통해 어머니 자신의 자아를 실현하고 자녀와 함께 행복해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발달장애어머니의 독특한 모성 경험에 대한 인식 재고(再考)와 실질적인 양육지원 대책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ried to contain the process of reflecting on the individual maternal experiences going through while rais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in the norms of maternal ideology using the self-cultural descriptive research method.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a mother of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eels guilty for her child s illness and disability while blaming herself. A mother is often criticized for giving the cause to her child s illness, and struggles with the idealized role of a good mother. Second, the accusation of the lack of mother s roles is further strengthened due to the child s disability tha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myth of overcoming disability aggravates the guilt of the lack of mother s roles, and the criticism continues along with endless care. Lastly, a mother reflects on herself, who cannot be perfect, letting go of the role of the ideal mother. The mother seeks ways to realize the self and become happy with their
children through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her children. It is supposed to be possibl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unique maternal experience of moth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emphasize the need to provide practical childcare suppor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생인권과 교권은 상충되는가? : 아동학대 관련 판례를 중심으로
- ‘교육활동 방해 학생의 치료권고 및 분리, 제지’와 ‘학교인권법’에 관한 연구
- 한·중·일 초·중·고교 교원 보수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