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영화 제작 교육
이용수 84
- 영문명
-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filmmaking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 저자명
- 고병정(Ko Byung Jung)
- 간행물 정보
- 『모드니예술』제18호, 93~10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무용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re is no discussion about experience in film education so far. In this context, film education is still focusing on understanding, production, and appreciation as functional elements. As a result, it is true that the content presented in textbooks has a strong character of knowledge, and cannot respond to the specific problematic situations that teenagers face while working on films after they become adults. For example, considering the effect of one s own film expression, pursuing one s own style by experience rather than experience or technical expression may be a component of the film. In this study, ‘experience’ educ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refers to ‘education to better understand or express one’s own storytelling for actual film production’, and has the characteristic of a goal-oriented problem-solving proces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증강현실을 활용한 영화 제작 교육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무용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무용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