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팬데믹 시대, 예술교육자의 변화 지점과 방향성에 관한 시론적 연구
이용수 103
- 영문명
- Pandemic era, Changes in Art Educators and A Tentative Research On direction
- 발행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 저자명
- 안지언(An Jiun)
- 간행물 정보
- 『모드니예술』제18호, 1~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무용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Corona 19, the world s fundamental situation, not only the educational world but also the art world is undergoing change and transformation, and spontaneous and involuntary innovation. At that time, what kind of change points and possibilities is cultural arts education for the encounter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using arts and education as materials? First of all, the professor is no less than strengthening the individual s ability, adapting to new situations and actively utilizing collective intelligence for development. This strengthens the competence of a voluntary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s an example of this, we will introduce the case of a specialized learning community centered on Nowon-gu. In addition, the absence of communication and poor learning ability, which are problems caused by the expansion of learners spontaneity in the online situation, are actually a storytelling curriculum through real-time educational platforms (zoom, webinar, etc.)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And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is overcoming the same as shipping art kits. The value of this sensibility integrated education such as John Dewey and Vygochuki is drawing attention again. This is a teacher s lesson design based on art education philosophy such as widely awakening of art education and everyday materials such as natural objects (enhancing imagination for deformation and daily use of teaching materials) of online art education. It is a point of change and I think it is the direction to go. Therefore, art educators recommend that through the design of storytelling-style cultural arts education, we should not only utilize technology but also proceed to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through technology.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팬데믹 시대, 문화예술교육과 예술교육자의 고민
Ⅲ. 연구개요
Ⅳ. 팬데믹 시대: 예술교육자의 변화 지점과 가능성
Ⅴ. 나가며: 예술교육자의 방향성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무용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무용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