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인의 남성심리와 목회상담
이용수 42
- 영문명
- Psychology of Korean Masculinities and Its Implications on Pastoral Counseling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정석환(Sukhwan Jueng)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9권,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5.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raw implications from the field of psychology of Korean masculinities that could be used to improve pastoral counseling for adult males in Korea.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taken on dozens of adult males in Korea and general practices and ethnographic observations were made. Then, theories of psychology of masculinities were examined in terms of its history, goals, as well as implications for pastoral counseling. The key implications in the area of psychology of Korean masculinities for pastoral counseling are as follows: 1) Korean male identity in general is shaped by Korean culture which focuses on confucian-authoritarian cultural icons as models of masculinity. 2) As a result, Korean males grow up mirroring overblown myths of manhood and constantly overcompensating for their loss of a true role model, leaving them unprepared for family life. 3) Korean pastoral counselors for Korean male adults must focus on moving them past proving their masculinity and on to a stage of cooperation with other Korean male adults, striving with rather than against their mates, achieving equality and intimacy in the process. 4) Korean pastoral counselors must help Korean male adults as they experience parenthood and undergo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forgiving their own parents. In conclusion, a significant shift in the pastoral care context is suggested, a change in paradigm and practice from the male-centered context to a more human-centered context. The study also offers a new approach to issues of commitment, caring, and control, creating a positive model to follow for the fathers of tomorrow s Korean men.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남성심리의 이해
III. 전통적 남성상에 자리한 한국남성의 심리
IV. 남성학과 남성운동의 흐름과 내용
V. 성숙한 남성으로 발전하는 7단계
VI.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09집(2025년 여름호) 목차
- 혐오는 어떻게 몸을 이루는가 - 집단 혐오에 관한 신경인문학적 이해와 체화된 사랑으로서 성육신에 관한 고찰
- 도잔소 프로세스에 나타난 에큐메니컬 평화운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