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놀이에 대한 대상관계적 접근
이용수 38
- 영문명
- The Perspectives of Object Relations on the Play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송정아(Song, Jung Ah)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15권, 55~7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5.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erspectives of object relations on the play and the representatives of God, the spirituality and the pastoral counseling on the play. Object relations centers upon the archetypes of human relationships formed by the childhood relation experiences. The maturation process with the play proceeds throughout life as the possibility of creative living. The facilitating environment is necessary for the child’s senses of existing and of continuity. The mixture of physical interactions of good enough mother and a setting of a good enough object relationship helps the infant personalize and develop the state of the “psyche indwelling in the soma”. Play therefore is a necessary part of living in the children. The relationship of the child and God is not objectively provided, but formed by the child’s subjective experience. Therefore, when the caretakers help children to meet the transitional object-God subjectively in the transitional space, then the God met in the transitional space may be perceived as playing God with children.
목차
I. 서론
II. 놀이에 대한 대상관계 이론
III. 놀이와 영성
IV. 놀이와 하나님 표상
V. 놀이와 목회상담
VI.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령 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게임놀이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 모와의 상호작용 놀이가 자폐성 유아의 사회적 관계 맺기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영성
- 신학자 폴 틸리히의‘중심된 자기’의 존재론적 양극성관점에서 본 기독교상담의 정체성
- 한국 내 조선족 청년들의 사회문화적응력 향상을 위한 요구 분석
- 부/모 사별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정서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기독교 자녀양육 척도 개발
- 상담을 중심으로 한 교회경영모델
- PCIT(부모-자녀 상호작용 치료)
- 부부만족도와 부부문화성향
- 기독(목회)아동상담의 정체성
- 수치심
- 놀이에 대한 대상관계적 접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10집(2025년 가을호) 목차
- 숨밭 김경재의 성령 이해 - 『성령론』(1997) 강의를 중심으로
- 숨밭 김경재의 ‘대승적 민중신학’ - 민중신학 50년에 대한 회고와 오늘의 민중신학을 향한 제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