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앙을 가진 중년여성의 내재적 종교성향이 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4
- 영문명
- The effect of intrinsic religiousness on the negative emotions of middle-aged women: mediating effect of forgiveness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조영주(Cho, Young-Joo) 이지연(LEE Jeeyon) 장진이(Jang Jin Yi)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23권 제2호, 203~22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신앙을 가진 중년여성의 내재적 종교성향, 부정적 정서, 용서 간의 관계를 살피고, 내재적 종교성향과 부정적 정서 경험 간의 관계에서 용서가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독교와 천주교 신앙을 가진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총 26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내재적 종교성향은 용서와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였는데, 하위요인 가운데 용서행동과만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였고 용서인지와 용서정서와의 관련성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내재적 종교성향과 부정적 정서, 용서와 부정적 정서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관련성 발견되었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내재적 종교성향과 부정적 정서 간에 용서가 완전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종교성향이 용서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용서 경향성이 부정적 정서 경험 수준을 낮출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기독교와 천주교 신앙을 가진 중년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 상담에서 내재적 종교성향과 용서 촉진적인 상담 전략이 모색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forg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religiousness and negative emotions in the middle-aged women. 300 Christian martial women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and data from 263 martial women analyzed.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the significant negative relevance of low level between intrinsic religiousness and negative emotions and there’s the significant positive relevance of low level between intrinsic religiousness and forgiveness. In additon to that, forgiveness had the significant negative relevance with negative emotions. Finding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forgiveness fully mediated the relation intrinsic religiousness and negative emotions. The implication for future studies and practice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09집(2025년 여름호) 목차
- 혐오는 어떻게 몸을 이루는가 - 집단 혐오에 관한 신경인문학적 이해와 체화된 사랑으로서 성육신에 관한 고찰
- 도잔소 프로세스에 나타난 에큐메니컬 평화운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