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하나님 이미지가 자아존중감과 신앙성숙 그리고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71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the image of God on self-esteem, spiritual matur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황동한(Hwang, Dong Han) 송정아(Jungah Song)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23권 제2호, 253~27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년들이 가지고 있는 하나님 이미지가 자아존중감과 신앙성숙, 그리고 대인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로분석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하나님 이미지, 자아존중감, 신앙성숙, 대인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나님 이미지는 청년들의 자아존중감과 신앙성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좋은 하나님 이미지를 갖고 있는 청년들은 자아존중감이 높고 신앙성숙도도 높았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신앙성숙도는 대인관계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자아존중감과 신앙성숙이 높으면 대인관계도 건강하고 대인관계 만족도도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하나님 이미지는 대인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자아존중감과 신앙성숙을 매개로 청년들의 대인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하나님에 대한 좋은 이미지 그 자체가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게 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긍정적인 하나님 이미지와 함께 높은 자아존중감과 성숙한 신앙을 가지고 있을 때 좋은 대인관계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image of God influences on the Christian young adults’ self-esteem, spiritual matur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dopted for analysis, designating God’s image as an independent variable, self-esteem and spiritual maturity as intervening variabl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 a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od’s image has a direct influence in self-esteem and spiritual maturity of young adults. Those who have a good image of God have high self-esteem and spiritual maturity while those who have a bad or ambiguous image of God have low self-esteem. Seond, self-esteem and spiritual maturity are significantly positive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f one has a high self-esteem and spiritual maturity, he has a healthy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ird, the image of God has an influ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self-esteem and spiritual maturity. Although the image of God does not have direct influenc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t has a significant influences through self-esteem and spiritual maturity as intervening variable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나가는 글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09집(2025년 여름호) 목차
- 혐오는 어떻게 몸을 이루는가 - 집단 혐오에 관한 신경인문학적 이해와 체화된 사랑으로서 성육신에 관한 고찰
- 도잔소 프로세스에 나타난 에큐메니컬 평화운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