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학생을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연구
이용수 410
- 영문명
- The study on music therapy programs for the perpetrators and the victims in school violence: based on a perspective of psychodynamics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권선애(Kwon, Seon Ae) 안석(An Seok)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23권 제3호, 9~57쪽, 전체 4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1.30
8,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학생들의 분노와 공격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심리적 요인을 통찰하고 치유함으로써 학교, 사회공동체의 건강한 구성원이 되도록 돕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학생에게 있어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학교폭력 예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더 나아가 음악치료는 바람직한 교우관계 형성을 통하여 즐거운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어, 성인으로 성장한 후 나타날 우려가 있는 가정폭력 행동을 예방하고 차단하는 효과를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는 음악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고 음악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 학생들을 위한 음악치료에 대한 기독교상담적 평가를 하였다. 폭력학생에게 임파워먼트 접근법으로 다체계적 개입방법으로 음악치료적 접근과 여러 기관의 연계로 향후 음악치료를 통한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학생 선도와 치료적 개입 프로그램이 적용되고, 활성화되어 효과성 검증에 관한 후속연구가 요청된다. 더 나아가 청소년들의 기독교 음악활동에 관한 기독교상담적 평가가 요청된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help the perpetrators and the victims involved in school violence become a healthy member of their communities of family, school, and society as well as reduce their anger and aggression by analyzing psychological causes of the violence and further guiding and healing them.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making a contribution to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music therapy, providing a concrete direction to the further improvement of music therapy, and evaluating in Christian counselling perspective on the music therapy for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in school violence. For an approach towards empowering students exposed to school violence,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ncluding the music therapy approache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and in the connectivity between diverse institutions should be taken. Further studies should be implemented to guide the perpetrating or victimized students, apply therapeutic intervention programs to them,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In addition, evaluation in Christian counselling perspective on Christian musical activities of the adolescent should be requested.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학교폭력 가해·피해학생을 위한 음악치료
Ⅲ.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학생을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Ⅳ. 연구방법 및 연구결과
Ⅴ. 나가는 말: 요약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흥종교집단의 개종과정과 상담
- 남성우울 극복과정과 비판적 - 구성적 성찰
- 역기능가정에서 성장한 중년 크리스천 여성의 분노경험 연구
- 청소년 게임중독에 대한 이해와 기독교상담에의 함의
- 재미 1세 한국 이민 여성의 영적 여정에 대한 사례연구
- 대인관계가 어려운 기독청년들의 집단 독서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학생을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연구
- 가족놀이치료를 통한 희귀난치성질환 환우 가족의 상호작용 변화연구
- 미국과 한국 선교사들의 스트레스, 애착 유형, 문화적 차이
- 학습관련 자녀양육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독서활동 중심의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예비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09집(2025년 여름호) 목차
- 혐오는 어떻게 몸을 이루는가 - 집단 혐오에 관한 신경인문학적 이해와 체화된 사랑으로서 성육신에 관한 고찰
- 도잔소 프로세스에 나타난 에큐메니컬 평화운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