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독 대학생의 사회부적응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
이용수 66
- 영문명
- Moderating effects of ego resilience and family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aladjustment and suicidal ideation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정숙희(Sook Hee Jung) 류수정(Ryu, Su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24권 제3호, 207~23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 대학생의 사회부적응과 자살생각의 관계에 있어서 사회부적응 정도가 자살생각 정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지를 살펴보고, 자아탄력성과 가족탄력성이 사회부적응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통하여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보호요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H대학교 신입생 중 기독 학생 8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회부적응은 자아탄력성 및 가족탄력성과는 부적상관관계가, 자살생각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아탄력성과 가족탄력성은 정적상관관계가, 자아탄력성과 가족탄력성은 모두 자살생각과 부적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기독 대학생의 사회부적응 정도는 자살생각을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즉 기독 대학생의 사회부적응이 심할수록 자살생각을 많이 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독 대학생의 사회부적응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 있어서 자아탄력성과 가족탄력성 모두 부적 조절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사회적응 수준이 낮은 기독 대학생이라 할지라도 자아탄력성과 가족탄력성이 높을 때 자살생각이 경감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독 대학생의 자살예방을 위해 기독교 공동체가 학생들의 정신건강에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대처해야 하고, 사회적응 정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할 뿐만 아니라 자아탄력성과 가족탄력성 증진을 위해 노력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moderating effects of ego resilience and family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aladjustment and suicidal ideation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For this research, total 805 Christian freshmen students participated in a survey from a Christian college. The survey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maladjustment and suicidal ideation,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go resilience and suicidal ideat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suicidal ideation. Social maladjustment predicted suicidal ideation significantly. In addition, ego resilience and family resilience made a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aladjustment and suicidal ideation.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level of social maladjustment influences the level of suicidal ideation, so it needs to help Christian college students to increase their social adjustment. And ego resilience and family resilience decrease suicidal ideation as protective factors, so it needs to develop the programs to increase ego resilience and family resilience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개괄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만성정신질환자를 돌보는 기독교인 어머니의 심리사회적 현상 연구
- 크리스천 남성의 중년기 적응형태 연구
- 기독 대학생의 사회부적응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
- 초월상담의 소개와 자기심리학의 기독교상담으로 통합가능성 타진
- 긍정심리강화 프로그램이 전문대학생의 행복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 미셸 푸코에서 마이클 화이트까지
- 사별과 목회적 돌봄
- 수퍼비전(Supervision) 활동에 관한 통합적 접근
- 부모 훈련 병합 놀이 치료가 ADHD-ODD 아동의 공격성과 가족 관계에 미친 영향
- 한부모가정 자녀를 위한 기독[목회]상담적 접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