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영어졸업인증제 요건과 방식의 표준화 방안
이용수 148
- 영문명
- The Standardization of the University English Certification Requirements and Methods for Graduation
- 발행기관
- 표준인증안전학회
- 저자명
- 남지영(Nam, Ji Young)
- 간행물 정보
- 『표준인증안전학회지』제11권 제4호, 111~12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각 대학이 재학생들의 영어실력을 키우기 위한 방법으로 시행하고 있는 영어졸업인증제의 현황을 살펴보고, 인증제를 시행하는 요건, 방식과 표준화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2000년대부터 영어졸업인증제를 실시해온 대학을 중심으로 1) 인증제의 시행방식, 2) 인증제의 표준화된 기준 및 요건, 3) 인증제의 표준화를 위한 방안 등을 살펴보았다. 조사한 대학들에게서 보이는 일반적인 특징은 우선 공인영어시험을 인증의 기본 수단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대학 자체의 강좌를 단계적으로 이수하는 인증제도를 시행하는 대학도 일부 있다. 두 번째 특징으로 다양한 어학관련 공인시험을 허용하고 있는데, 이는 미국영어를 중심으로 하는 표준화 시험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고, 읽기 중심의 시험이 더 많다. 하지만, 최근에 말하기 중심의 시험이 추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세 번째 특징으로 대학 자체에서 개발한 평가를 주로 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공인시험을 대체하는 특별시험도 거의 운영하지 않아서, 대내외에 표준화된 기준을 제공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실제로 하나의 표준화된 시험을 사용하기보다는 대학이나 학생들이 원하는 영어기능을 채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표준화된 시험과 대학별 혹은 학과별로 다른 기준을 허용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서 영어졸업인증제를 하나의 표준화된 기준으로 통합하는것은 효율적이지 않지만, 공인시험과 같은 표준화된 기준들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각 대학은 학생들의 영어실력을 강화하기 위해 영어인증 설정단계에 따라서 그 대학에 적합한 인증제를 시스템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tatus of English proficiency requirements for graduation implemented by universities, and to examine the methods of implementing the certification systems, and the possibility of certification standardization. At universities that have implemented English certification systems for graduation since the 2000s, 1) the methods of implementing the certification, 2) the requirements and standards of the certification, and 3) possible ways to standardize the certification system were examined. Above all, the TOEFL and TOEIC English proficiency tests are the most common means of measuring English proficiency, and a few universities have implemented a certification system where students complete the university s own courses in stages. The second feature is that various language-related accredited tests are allowed. They include mostly standardized tests centered on American English and mostly reading-oriented tests. However, it appears that speaking-oriented tests have been added recently. The third feature is that universities rarely conduct assessments that they have developed themselves, and university-created special tests that replace accredited tests are rarely used, so most universities provide standardized results from generally accepted accredited tests for their English certification requirement. In fact, rather than using one standardized test and proficiency level, various standardized tests, even different foreign language tests, and proficiency levels are allowed for different colleges and departments so that universities or students can adopt the desired English function and proficiency level. Instead of a single standardized system, each university should systematize the optimal certification system using standardized tests by the proper steps to strengthen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목적 및 방법
Ⅳ. 어학 중심 인증제 현황 - 자격요건 및 방식의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착용형 남성용 소변 수집기의 사용성 평가
- 교과서 질 관리를 위한 사이버연수원 연수 프로그램의 표준안 개발
- 대학 영어졸업인증제 요건과 방식의 표준화 방안
- 학습 공간과 학습 경험의 성격에 기반을 둔 표준 혼합 학습 설계 모형의 개발
- 착용형 소변 수집기 개발을 위한 휠체어와 소변백의 부착 방법 연구
- 폭발실증시험에서 철근 콘크리트 충전형 강판 방폭문의 성능등급 판정법
- 복합 시험편을 이용한 다축 가공기의 정확도 검사 방법의 표준화
- 국내 원전 성능기반 화재방호 규제검사 기준/지침 개발을 위한 고려사항에 관한 고찰
- 감염병 대유행 상황에서 전시회 개최를 위한 방역 표준 지침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Research on the Protection Mechanisms of the Korean Heukgeum and the Chinese Erhu From the Perspective of Arts Management
- The Innovation Mechanism of AIGC Enabling Art Education —— Take the Relevant Practices in Zhejiang, China as An Example
- 声音空间的自动化——音乐声音空间扩散模式研究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