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우울과의 관계: 자기비난을 통한 자기자비불안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419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the Fear of Compassion for Self through Self-Criticism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이새미(Saemi Lee) 김은정(Kimeun Jung) 원성두(Sungdoo Won)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2권 제4호, 93~11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설명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우울간의 관계를 자기비난이 매개하고, 자기비난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자비불안이 조절하는지 확인하고자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성인 317명(남자 114명, 여자 203명)을 대상으로 Frost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FMPS)와 Hewitt와 Flett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HMPS), 자비 불안 척도, 우울 경험 질문지, 한국판 역학조사 센터 우울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료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기비난이 완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자기비난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자비불안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자기비난을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자기자비불안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우울증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평가염려 완벽주의, 자기비난, 자기자비불안 등 핵심 인지적 요인을 고려한 인지적 중재가 필요하다는 경험적 증거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fear of compassion for self through self-critic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Methods: A total of 317 adults completed measures assessing their self-evaluative concerns about perfectionism, self-criticism, fear of compassion for self, and depression.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criticism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riticism and depression was moderated by fear of compassion for one self.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vidence for effective therapeutic intervention(e.g., self-compassion-focus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ies) for depression, considering cognitive components such as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self-criticism. Additionally, fear of compassion for self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evaluative concerned perfectionism on depression through self-criticism.
목차
서 론
연구방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격강점이 예비보육교사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성인용 기질 척도(ATS)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분노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및 친구의 반응과 분노표현방식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융합인재교육(STEAM) 기반의 텃밭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학교적응 프로그램이 경계선 지능 아동의 실행기능 및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우울과의 관계: 자기비난을 통한 자기자비불안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청소년의 불안민감성과 걱정과의 관계에서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병렬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긍정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