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밴드랩(BandLab)을 활용한 비대면 화음창 활동에 대한 소고
이용수 265
- 영문명
- A Review on Non-Contact Vocal Ensemble Activity Using BandLab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고선미(Seonmi Koh)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50권 제4호, 25~4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면방식이 관례였던 화음창 활동을 비대면 방식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으로 밴드랩 애플리케이션을 가창실기수업과 합창 수업에 활용해 보고 그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다수의 음악 관련 애플리케이션들 중에서 화음창 활동에 효과적일 수 있는 애플리케이 션을 선정하고 화음창 활동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를 체계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은 비대면 방식이 라는 제한적 조건에서도 유의미한 화음창 활동의 교육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학생들은 애플리케이션의 활용에 대해 상당히 긍정적인 평가를 했는데 이는 적절한 애플리 케이션의 활용이 비대면 방식의 음악 실기수업을 위한 효과적인 접근일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언택트 문화와 온택트 소통방식, 그리고 재택 문화로 특징되는 코로나 뉴-노멀 시대의 음악 실기 수업을 위한 유효한 접근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the BandLab application in singing practice class and chorus class, and to examine its music educational meaning as a way to operate vocal ensemble activities in a non-contact manner. It was shown that selecting an application that can be effective for vocal ensemble activities among many music-related applications and systematically using i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ivity can bring meaningful educational effects despite the limited condition of the non-contact manner. In addition, the students presented a very positive evaluation of the use of the application, which indicates that the appropriate application can be an effective approach for non-contact music practical classes, as well as it can be a valid approach for music practical classes in Corona New-Normal era, which is characterized by an un-tact culture, an on-tact communication method, and a stay-at-home culture.
목차
Ⅰ. 들어가는 글
II. 화음창의 교육적 의미
Ⅲ. 밴드랩을 활용한 화음창 활동
Ⅳ. 나가는 글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 전공자들의 경력전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타 분야에서 일하는 기악 전공자를 중심으로 -
-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통합예술활동이 유아의 국악흥미도와 음악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음악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싱가포르, 독일, 프랑스, 핀란드를 중심으로 -
- 향유방식에 근거한 12가사 교수⋅학습 방안
- 포스트 디지털 시대를 위한 음악교육의 과제 - 기술과 예술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중심으로 -
- 밴드랩(BandLab)을 활용한 비대면 화음창 활동에 대한 소고
- 한⋅미 초등 음악 교과서 창작⋅즉흥연주 관련 교수학습 내용 비교
- 특수교육 교육과정과 교육정책의 연계 분석을 통한 실용음악교육 적용 방안
- 동화 각색을 이용한 주크박스 뮤지컬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1,2학년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중심으로 -
- 제52회 한국음악교육학회 여름학술대회를 마치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