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 전공자들의 경력전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타 분야에서 일하는 기악 전공자를 중심으로 -
이용수 440
-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Career Transitions of Music Majors: Focusing on Instrumental Majors Working in Non-music Field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송민희(Minhee Song) 김남희(Namhee Kim)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50권 제4호, 93~12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타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음악 전공자들의 경력전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고 그 경험이 갖는 성인학습적 의미를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악을 전공한 11명의 연구참여자를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이들이 갖는 경험의 본질을 탐색하기 위해 현상학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연주자의 삶을 포기한 후 다른 길을 찾고, 새 로운 일을 시작하며 음악 전공자로서 새로운 경력을 개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의 경력전환 과정과 경력전환 이유, 경력전환 경험 의 성인학습적 의미와 본질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음대 재학생들을 위한 직업진로교육에 시사 하는 바와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s of music majors’ career transitions and to find the implications from an adult learning perspectiv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research participants and phenomenolog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nature of their experiences. After giving up a career as music performer, the research participants started a new career in other fields. This study revealed the meaning and nature of participants career transition process, motivations, and experiences. It suggested revisiting vocational career education for music major college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 전공자들의 경력전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타 분야에서 일하는 기악 전공자를 중심으로 -
-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통합예술활동이 유아의 국악흥미도와 음악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음악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싱가포르, 독일, 프랑스, 핀란드를 중심으로 -
- 향유방식에 근거한 12가사 교수⋅학습 방안
- 포스트 디지털 시대를 위한 음악교육의 과제 - 기술과 예술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중심으로 -
- 밴드랩(BandLab)을 활용한 비대면 화음창 활동에 대한 소고
- 한⋅미 초등 음악 교과서 창작⋅즉흥연주 관련 교수학습 내용 비교
- 특수교육 교육과정과 교육정책의 연계 분석을 통한 실용음악교육 적용 방안
- 동화 각색을 이용한 주크박스 뮤지컬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1,2학년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중심으로 -
- 제52회 한국음악교육학회 여름학술대회를 마치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