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이용수  572

영문명
The Mediation Effect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발행기관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저자명
박수현(Park, Soo Hyun)
간행물 정보
『한국교육논총(구 교육연구논총)』제42권 제2호, 37~6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러한 관계에 있어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시에 소재한 중학교 1~3학년 학생 358명 자료를 활용하였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자율성지지, 교사의 자율성지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는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역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즉,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높이는데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중요한 작용을 하며, 자기결정성 학습동기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매개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해서는 가정과 학교 내에서의 자율성을 지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자기결정성 학습동기를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358 students from first to third grade in middle school from C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main variable correlation revealed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utonomy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indicates that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adjustment,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mediates the rol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Thus, to improve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 environment that supports autonomy at home and in school, should be provided. Furthermore, it is important for parents and teachers to build positive relationships and students need to improve their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수현(Park, Soo Hyun). (2021).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한국교육논총(구 교육연구논총), 42 (2), 37-67

MLA

박수현(Park, Soo Hyun).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한국교육논총(구 교육연구논총), 42.2(2021): 37-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