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룹홈 거주 아동기 학대피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다중 사례 연구
이용수 368
- 영문명
- Multiple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the Resilience of Adolescent Abuse Victims Living in Group Home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주(Hyejoo KIM) 공소연(Soyeon KONG) 한경아(Kyeonga HAN)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80호, 59~8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그룹홈 거주 아동기 학대피해 청소년이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그룹홈에 거주 중인 18세 미만 여자 청소년 2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다중 사례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미술치료 회기는 2021년 4월 23일부터 7월 30일까지 주 1~2회, 회기 당 약 60~90분씩 총 24회기로 진행되 었다. 회기에서 수집된 자료와 심층 면담 자료를 분석하여 그룹홈 거주 아동기 학대피해 청소년들이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에서 경험한 것에 대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치료 과정을 통해 자신에 대한 이해와 조절력이 증진되면서 자신의 문제를 주체적으로 해결하는 역량이 강화되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그룹홈 생활의 즐겁고 만족스러운 요소들을 발견하게 되면서, 자신의 긍정적 미래에 대한 계획을 적극적으로 설계하는 태도가 형성되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그룹홈 식구들이 자신의 지지체계임을 깨닫고, 사회적 관계를 맺고 관계에서의 어려움을 다루는 방법을 배우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following study is to examine what experiences group home adolescents who were abused during childhood have when improving resilience through art therapy. For this purpose, two female adolescents under the age of 18 living in a group home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and a multiple case study method was carried out. Art therapy sessions were held from April 23 to July 30, 2021, 1-2 times a week, for 60 to 90 minutes per session for a total of 24 sessions. By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session and in-depth interview data, the conclusion of what the adolescents experienced through art therapy led to the following. First, their ability to independently solve their problems strengthened as their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self-control improved. Second, as they found enjoyable and satisfying elements of life in a group home, they developed an attitude of actively designing their positive future plans. Third, the participants realized that the people in the group home were their support system, and learned how to develop social relationships and face the difficulties of relationship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역연계 참여적 박물관 교육방법론에 대한 탐색
- 미적 판단력과 인간 성장: 우리의 보는 방식은 우리를 어떻게 살게 하는가? : 팬데믹 시기 미술교육의 중간 점검
- 한국 현대 추상미술의 통어(通語), 박서보의 <묘법> :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디지털까지
- 대학 교양 교육에서 비대면 동양화 실기교육에 대한 교수자들의 인식과 경험
- 관람자 조사를 통한 전시평가 연구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미술 속 도시, 도시 속 미술>을 중심으로
-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그림책 활용 미술교육에 관한 실행연구 : 초등학교 1학년 대상 공감능력 중심으로
- 학교공공미술교육 강화를 위한 교사 교육연구회 활용 방안 : 경기도교육청 교육연구회를 중심으로
- 문화예술교육 실천사례 : 대학의 교양교과를 중심으로
-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미술교과 역량 탐색을 위한 미술 이론과 실천 연계의 재개념화
- 미술과에서 소재 탐색 및 소재의 재료화를 위한 교수법적 접근 : 우치노 츠토무의 소재론과 실천을 중심으로
- 동서의 시간 개념 이해와 수묵 실기수업에서의 적용 가능성 연구 : 도가의 순환·변화의 시간관과 들뢰즈의 차이·반복의 시간관을 중심으로
- 대학생들의 예술 인식에 대한 개념도 연구
-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내용 요소와 기능, 성취기준 구성을 위한 해외 교육과정 비교 연구
- 그룹홈 거주 아동기 학대피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다중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