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낮은 자존감으로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유아의 모래놀이치료 사례 연구
이용수 923
- 영문명
- Children with maladaptive behavior due to low self-esteem Sandplay therapy case study
- 발행기관
-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
- 저자명
- 김혜심(Kim, Hye Sim)
- 간행물 정보
-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지』제4권, 49~6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낮은 자존감으로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만 5세 여아의 모래놀이치료에서 유아의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과 자존감 발달을 살펴본 것이다. 부모 초기면접, 어린이집 담임교사 상담, 유아 심리검사 결과를 토대로 총 20회기 모래놀이치료, 매 회기 10분 부모상담, 총 5회 교사상담을 8개월간 진행하였다. 모래상자에 표현된 놀이 주제와 흐름에 따라 초기, 중기, 종결단계로 나누어 내용을 분석하였고 그에 따른 유아의 심리적 변화와 자존감 발달 과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모와 교사 상담을 통해 가정과 어린이집에서의 부적응 행동 양상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첫째, 유아는 치료자와 모자일체성과 같은 신뢰로운 관계를 형성하고 자유롭게 감정을 표현하였다. 둘째, 모래놀이 주제와 내용이 초기 단계에서는 혐오적이고 혼란스러웠으나 중기 단계에는 창작과 생산작업을 통해 부정적인 감정을 보상받고 긍정적인 모성상을 표현하였으며 종결단계에는 천지개벽과 대변혁 후 마침내 지상낙원으로 변화하면서 유아의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과 자존감 발달을 보여주었다. 셋째, 모 및 담임교사와의 상담 결과 유아의 사회관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으며 학습에 자신감을 보이고 문제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등 부적응 행동이 사라지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사례연구는 모래놀이치료가 유아의 자아개념 형성과 자존감 발달을 돕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on of positive self-concept and development of self-esteem in the sandplay therapy of a 5-year-old girl who exhibits maladaptive behavior with low self-estee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itial parent interview, the daycare center teacher s consultation, and the infant psychological test, a total of 20 sessions of sandplay therapy, 10 minutes of parental counseling each session, and a total of 5 teacher counseling sessions were conducted for 8 months. According to the play theme and flow expressed in the sandbox, the contents were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early, middle, and final stages, and the psychological changes and self-esteem development process of children were considered. In addition, the changes in maladaptive behavior patterns at home and daycare centers were examined through parent-teacher couns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that first, infants formed a trusting relationship with the therapist and mother and child, and expressed their feelings freely. Second, the theme and content of sand play were disgusting and confusing in the early stage, but in the middle stage, negative emotions were compensated through creation and production work and positive motherhood was
expressed. It showed the formation of positive self-concept and development of self-esteem in children. Third, as a result of counseling with the mother and homeroom teacher, the social relationship of children was positively changed, and maladaptive behaviors such as showing confidence in learning and making efforts to solve problems disappeared. In conclusion, this cas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sandplay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helping infants form self-concept and self-esteem.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All-Cause Mortality and Bleeding Risks Associated With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in Patients With End-Stage Kidney Disease and Depression: A Nationwide Cohort Study
-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in a Burned-Out Oncologist
- Indonesian Validation of the YouTube Addiction Scale Among Young Adul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