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년성인이 지각한 행복과 불행의 토착심리
이용수 116
- 영문명
- Perception of happiness and unhappiness among middle-aged adults: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
- 저자명
- 최은영(Choi Eun Young) 박영신(Young-Shi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지』제4권, 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년 성인들이 지각한 행복과 불행의 토착심리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정생활, 직장생활, 여가생활 및 종합적인 행복과 불행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성인 259명으로 남자 180명, 여자 79명이었다. 측정 도구는 박영신(2014)이 제작한 자유반응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 성인들이 가정생활에서 가장 행복할 때는 가족과 함께 함이 반수에 가까운 가장 높은 범주였으며, 직장생활에서 가장 행복할 때는 질병유무 집단별로 차이가 있었다. 질병이 있는 집단은 경제적 안정 및 주위의 인정이 가장 대표적이고, 질병이 없는 집단은 업무 성취가 가장 대표적이었으며, 여가생활에서 가장 행복할 때는 운동이 가장 높은 반응율을 보였다. 둘째, 중년 성인이 행복하기 위해 해야 할 일로서, 자기 조절이 반수에 가까운 가장 높은 반응율을 보였으며, 행복의 조건으로는 건강이 가장 대표적이었다. 셋째, 중년 성인이 종합적으로 가장 행복할 때는, 가정화목이 가장 대표적인 범주였으며, 넷째, 가정생활에서 가장 불행할 때에 대해, 질병 유무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질병이 있는 집단은 건강문제 및 경제적 어려움이 대표적이었으며, 질병이 없는 집단은 가족 간 갈등이 가장 대표적이었으며, 직장생활에서 가장 불행할 때에 대해, 질병이 있는 집단은 경제적 어려움이 가장 크고 질병이 없는 집단은 과다한 업무, 인간관계의 어려움을 가장 대표적으로 지적하는 차이가 있었다. 여가생활에서 가장 불행할 때에 대해, 질병이 있는 집단은 건강문제를 가장 대표적으로 지적하였으나, 질병이 없는 집단은 여가생활 못함, 인간관계의 어려움을 대표적으로 응답하였다. 다섯째, 종합적으로 가장 불행할 때에 대해, 질병이 있는 집단은 건강 문제를 가장 대표적으로 지적하였으며, 질병이 없는 집단은 가정불화, 없음의 순서로 차이가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happiness and unhappiness among middle-aged adults using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family life, work life, leisure life, and when the respondent was most happy and unhappy. A total of 259 adults (male=180, female=79) complet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Park (2014).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family life, a majority of adults
reported being happy when they are with their family members, followed by giving birth to children and seeing them grow. As for work life, adults who have health problems listed financial security and social recognition, and adults who do not have health problems listed occupational achievement. As for leisure life, exercising was most frequently listed, followed by engaging in hobbies. Second, as for how to become happy, a majority of adults listed
self-regulation, followed by taking care of one s health,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being faithful to one s family. Third, as for being most happy, adults reported harmonious family, followed by rest and leisure time. Fourth, as for unhappiness in the family life, adults who have health problems listed health problem and financial difficulties, followed by conflicts with family members, and difficulties in child rearing. Adults who do not have health problems listed conflicts with their family members, followed by none. As for unhappiness in work life, adults who have health problems reported financial difficulties, followed by lack of ability. Adults who do not have health problems reported heavy workload and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 for unhappiness in leisure life, adults who have health problems listed health problem, while adults who do not have health problems listed having no leisure life and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Fifth, as for when one is most unhappy, adults who have health problems reported health problem, and adults who do not have health problems reported family conflict and never.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All-Cause Mortality and Bleeding Risks Associated With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in Patients With End-Stage Kidney Disease and Depression: A Nationwide Cohort Study
-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in a Burned-Out Oncologist
- Indonesian Validation of the YouTube Addiction Scale Among Young Adul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