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치료적 건반 훈련 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손기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이용수 180
- 영문명
- Effect of Therapeutic Keyboard Training Program on Hand Function and Self-Efficac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Preliminary Study
- 발행기관
- 한국음악치료학회
- 저자명
- 이희진(Lee, Hee Jin) 김영신(Kim, Youngshin) 문지영(Moon, Ji Young) 황은영(Hwang, Eun 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23권 제2호, 109~13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치료적 건반 훈련 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손기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성마비 아동 6명에게 5주 동안 총 16회기의 30분 1:1 건반 훈련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는 손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MIDI를 통한 손가락 타력 및 양손 타건 협응력과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를 통한 손의 기민성을, 그리고 자기효능감 척도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료적 건반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은 우세손의 모든 손가락과 비우세손의 F1, F5의 손가락 타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양손 타건 협응력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 손의 기민성에서도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자기 효능감 점수도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이후 뇌성마비 아동의 신체적, 심리적 재활을 위한 악기를 사용한 재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rapeutic keyboard training program on hand function and self-efficacy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CP). For five weeks, six individuals with CP received a total of sixteen, 30-min 1:1 keyboard sessions, three or four sessions per week, in addition to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Measurement included MIDI data of pressing force of the fingers and keystroke interonset time interval for bimanual coordination, the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for hand dexterity, and the Self-Efficacy Scale. All measurements were analyzed to compare pre and post values via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The therapeutic keyboard performance training program yield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1) pressing force of F1, F2, F3, F4, and F5 on dominant hands, 2) pressing force of F1 and F5 on nondominant hands, 3) bimanual coordination, 4) manual dexterity relevant to simulated feeding and moving heavy objects tasks on dominant hands, and 5) self-efficacy. The results imply that therapeutic keyboard training program may effectively improve hand function and self-efficacy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meaningful to provide basic data in developing a therapeutic keyboard training program for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목차
연구방법
결과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