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DHD성향 아동에 대한 미술치료 효과: 취학 전 아동 단일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528
- 영문명
- A Disordered Child of Hyperactivity and Attention Deficit for the Study of Art Therapy and Single Example Case: In the Center of a Preschool Child
-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란(Kim, Young lan) 장성호(Jang, Sung Ho)
- 간행물 정보
- 『부모교육연구』제18권 제1호, 65~9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취학 전 아동을 대상으로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행하여 ADHD 성향 취학 전 아동의 과잉행동과 주의력결핍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조기치료의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S시에 소재한 C어린이집에 재학 중이며 과잉행동과 부주의 행동으로 지속적인 문제가 보였던 6세 남아였다. 미술치료프로그램은 2019년 3월 5일 사전검사를 시작으로 5월 7일까지 총16회기 진행하였고 미술치료프로그램 구성은 초기, 중기, 종결의 3단계로 구성하였다.
영문 초록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첫째, ADHD 성향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부주의와 과잉행동 및 충동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연구 참여아동의 K-ARS 척도 사전검사점수는 26점에서 사후검사 18점으로 8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기별 관찰기록에서도 연구 참여 아동은 의미 있는 상호소통과 자기절제의 향상이 관찰되었다. 둘째,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과잉행동 및 충동성의 감소와 부주의의 감소가 상이했다. 다양한 매체와 과도한 선택의 기회가 있었던 프로그램에서 ADHD 성향 아동은 부주의성이 상승했다. 더불어 선호하는 재료를 사용하고 평소 흥미 있던 작업진행은 연구 참여아동의 과잉행동 및 충동성을 감소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ADHD 아동에게 다양한 매체를 제시하는 것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고, 둘째, 과잉행동과 충동성 감소에 자율성을 부여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제시하였으며, ADHD성향 취학 전 아동 대상의 미술치료 접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