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콜라주 미술치료가 교정상담사의 심리적 소진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45

영문명
The Effects of Collage Art Therapy for Burnout and Ego Resilience of Correctional Counselors
발행기관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저자명
김하용(Kim, Ha Yong) 정재원(Jung, Jae Won)
간행물 정보
『교정상담학연구』제6권 제2호, 63~9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콜라주 미술치료가 교정상담사의 심리적 소진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S시에 거주하는 45세 교정상담사이며, 콜라주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주2회 60분씩 총 12회기 실시되었다. 연구도구는 심리적 소진과 자아탄력성척도를 사전 및 사후에 실시하여 양적 변화를 분석하였고, 언어와 행동의 변화 과정은 심리적 소진척도와 자아탄력성 문항을 중심으로 관찰항목을 정의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콜라주 미술치료는교정상담사의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콜라주 미술치료는 교정상담사의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셋째, 회기와 단계별 내용 분석을 통해 콜라주 미술치료가교정상담사의 심리적 소진과 자아탄력성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콜라주 미술치료를통해 내면의 감정표현, 자기 인식, 자기 통찰 등으로 부정적 감정을 표출하였으며, 이로 인해 정서적안정감을 경험하였다. 또한, 창의적인 발상을 통해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고 대처하는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긍정적인 자아상의 형성으로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이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콜라주 미술치료가 교정상담사의 심리적 소진과 자아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상담 현장에서 콜라주 미술치료의 활용가능성과 경험적 연구 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llage art therapy for burnout and ego resilience of correctional counselors. The study subject of this study was a 45 years old correctional counselor living in city S. The collage art therapy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60 minutes each in total of 12 sessions. The research methods were burnout inventory and ego resilience scale and those quantitative changes were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Furthermore, the verbal and behavior change processe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after defining burnout inventory and ego resilience scale as a observation i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ly, collage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decreasing burnout of correctional counselors. Secondly, collage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increasing ego resilience of correctional counselors. Thirdly, by analyzing phase and session data, we could verify that collage art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burnout and ego resilience of correctional counselors. Through collage art therapy the subject expressed negative emotions as internal emotional expression, self-awareness, self-insight etc. Self problem awareness and solving skills improved through creative thinking. Also, self-esteem and self expression were improved by creating positive self-image. Therefore, we could verify that collage art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correctional counselors’ mental exhaustion and ego resilience. It provided the applicable and experiential research data of collage art therapy for counseling field.

목차

서 론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
결 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하용(Kim, Ha Yong),정재원(Jung, Jae Won). (2021).콜라주 미술치료가 교정상담사의 심리적 소진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교정상담학연구, 6 (2), 63-91

MLA

김하용(Kim, Ha Yong),정재원(Jung, Jae Won). "콜라주 미술치료가 교정상담사의 심리적 소진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교정상담학연구, 6.2(2021): 63-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