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유저작물의 활성화를 위한 법적 연구
이용수 32
- 영문명
- A Legal Study for the activation of public domain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 저자명
- 박정인(Park, Jeong-In) 유현우(You, Hyun-Woo)
- 간행물 정보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제22권 제1호, 173~19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공유경제가 주목을 받으면서 저작권에 의하여 보호되지 않는 저작물을 의미하는 공유저작물도 함께 큰 조명을 받고 있다. 공유저작물은 「저작권법」의 목적 달성, 표현의 자유 확대 수단, 콘텐츠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 저작자의 자발적 행위를 보장한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정부 차원에서 공유저작물을 확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저작권법」을 비롯한 많은 유관 법률이 오히려 공유저작물 유통 활성화의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공유저작물과 관련한 많은 문제점과 한계로 인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유저작물의 의의 및 필요성과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고, 공유저작물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서 공유저작물의 확보 및 관리에 대한 개선 방안과 활성화를 위한 법 개정, 단일법 제정 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With the recent shared economy in the spotlight, public domain that are not protected by copyrights are getting a lot of attention. public domain are meaningful in terms of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Copyright Act, means of expanding freedom of expression, contributing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content industry, ensuring the author s voluntary conduct. Currently, the government is trying to enlarge the number of public domain in korea. However, many related laws, including the Copyright Act, are acting as barriers to the circulation of public domain. And many problems and limitations related to public domain are preventing them from being activated. Thus, we propose as a measure for the revitalization of public domain, a measure for the securing and managing of public domain, a revision of the law for the revitalization, and the enactment of a single law for the revitalization of public domain were put forward in this paper.
목차
Ⅰ. 서론
Ⅱ. 공유저작물의 의의 및 필요성
Ⅲ. 공유저작물의 현황 및 문제점
Ⅳ. 공유저작물의 활성화 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윤리적 동기와 행동의 괴리: 공공봉사동기, 조직동일시,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의 관계
- 디지털 리더십과 정치적 현저성이 공무원의 디지털 기술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기술 도입 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리더십 스타일이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