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족놀이치료 연구 고찰: 2000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이용수 478
- 영문명
- Research Trends and Effectiveness of Family Play Therapy in Korea: Focusing on domestic research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2020
-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 저자명
- 서정은(Jung-Eun Seo) 전영주(Young-Ju Chun)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29권 제2호, 321~34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가족놀이치료의 연구동향과 효과성 고찰을 위해 2000년부터 2020년까지 게재된 학술지 논문 19편을 검토하였다. 첫째, 가족놀이치료의 연구동향을 가족치료모델 접목, 참여자 특성, 상담회기 및 연구방법, 재검증을 위한 연구보고의 구체성, 신뢰성 확보를 위한 노력 등 다섯 가지 범주로 분석한 결과, 사회구성주의, 경험적, 구조적, 해결중심 가족치료 이론 등이 가족놀이치료에 주로 접목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놀이치료 대상 중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 가족의 참여가 가장 많았으며, 회기는 평균 8회기가 가장 많았다. 가족놀이치료 연구방법은 주로 질적연구와 혼합연구로 수행되었다. 둘째, 가족놀이치료의 효과성을 고찰한 결과, 부모-자녀 상호작용 영역에서 친밀감 및 유대감 증가, 의사소통 향상, 긍정적 관계형성 등에서 의미 있는 변화가 있었다. 또한, 가족 건강성 증진 영역에서는 응집력과 기능향상, 체계의 안정이 있었고, 부모의 양육태도 영역에서는 양육스트레스 감소, 양육기술 향상 등의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녀의 문제행동 영역에서는 학습장애와 정서 및 행동장애 감소,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감소, 과대기능, 섭식장애 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가족놀이치료 연구와 실천 방향에 대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reviewed 19 academic journal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2020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and effectiveness of family play therapy in Korea. Methods: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review the articles which are drawn from academic journals certified as Korean Citation Index (KCI) and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20. Results: Firstly, the research trends of the papers were analyzed in five categories: application of family therapy model, participant characteristics, research method & therapy sessions, concreteness of research report for revalidation, and efforts for reliability.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family play therapy, some effects were identified, such as increasing family intimacy and bonding, improving communication, improving parent-child relationship, improving family cohesion and function, stabilizing the family system, reducing parenting stress, and improving parenting skills. Finally, analysis identified improvements in children s learning disabilities, reduced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reduce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hyperactivity, and eating disorders. Conclusions: Future tasks for research and practice in family play therapy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가족놀이치료의 개념과 실태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족놀이치료 연구 고찰: 2000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 공통요인(common factors)을 통해 본 구조적 가족치료와 통합적 행동부부치료(IBCT)의 통합적 적용 가능성 및 가족치료적 함의
- 테스트
-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과 삶의 만족도: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신체증상의 순차적 매개효과
- 외현적 자기애 성향 어머니를 둔 자녀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상담학 분야의 근거이론 동향 연구: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 분석(2011~2020)
- 임신출산갈등을 경험한 여성의 위기갈등과 선택에 관한 질적 연구
- 중년기 기혼남성의 심리적 위기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성찰의 매개효과와 부부간 정서적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 30-40대 딩크족 부부의 결혼유지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 청소년의 기질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성의 조절효과
- 내러티브 슈퍼비전의 다양한 방법과 국내 교육훈련 시사점
- 가족상담사의 역전이 경험 연구: 근거이론 접근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