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망자의 동일성(identity)의 상업적 이용
이용수 13
- 영문명
- Commercial use of the Decedent s identity
- 발행기관
- 한국민사법학회
- 저자명
- 권태상(Kwon, Tae-Sang)
- 간행물 정보
- 『민사법학』제50호, 479~516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1. In U.S.A. and Deutsch, there are some common features: the economic value of human identity is protected by law after death, the deceased person s heirs have some rights, and this rights have limited duration. But, there is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legal structure. In U.S.A., the economic value of human identity is protected by the right of publicity. The right of publicity is seperated from the right of privacy, and is regarded as property right. As to the use of human identity after death, postmortem right of publicity is recognized. This is based on the nature of the right or publicity and policy arguments. In Germany, the economic value of human identity is protected by personality rights. Personality rights protect personality comprehensively, and this rights are regarded as personal. As to the use of human identity after death, German judgments recognize the economic aspects of the personality right and hold that it is descendible. 2. In Korea, opinons in favor of accepting the right of publicity are increasing. But, the judgements have not the same position with that of U.S.A as to the inheritability of the right of publicity. Therefore, the benefit of accepting the right of publicity is reduced. Furthermore, German judgments reveals that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economic value of human identity after death by personality rights. The economic value of human identity should be protected after death. This should be approached in coherent viewpoint about the protection of the value of human identity after death.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economic value of human identity after death by personality rights, and this method can be harmonized with existing judgements, the protection of dignitary value of the decedent.
목차
Ⅰ. 서론
Ⅱ. 미국에서의 사망 후 퍼블리시티권에 의한 보호
Ⅲ. 독일에서의 사망 후 인격권에 의한 보호
Ⅳ. 우리나라의 사망자의 동일성 보호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중증 여성장애인의 고용차별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노동시장에서의 이중차별 중심으로
- 산재근로자의 일상생활수행 장애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잠재프로파일 유형 분류: 영향요인과 잠재프로파일별 일상생활만족도와 직무만족도 차이 검증
- 고용의무사업체 장애인 근로자 일자리 이동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