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특수교사의 특수교육 통합교과의 교수·학습 및 평가 양상에 관한 연구

이용수  174

영문명
A Study on the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Modalities used by Elementary Special Teachers in the Integrated Subject of Special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주영(Jeong Jooyoung)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4권 제2호, 23~57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특수교육 통합교과의 교수·학습 및 평가의 구체적 방향과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통합교과 수업 경험이 있는 초등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이 인식하는 통합교과 교육과정과 수업, 실제로 교사들이 사용하는 교수·학습 및 평가의 양상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 통합교과 수업 경험이 있는 8명의 초등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통합교과 교육과정과 수업의 특징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고, 통합교과 수업에서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교수·학습 및 평가 양상은 어떠한가를 파악하기 위해 초점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삶을 기반으로 한 총체적이고 통합적인 교과, 주제 중심의 교수·학습, 학생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학생의 성공적 학습이 용이한 교과, 학생 수행 중심의 질적 평가, 교사 변인의 영향이 큰 교과 등 6개의 대주제와 18개의 상위 범주 주제가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생활 주제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 모색, 주제 활동 중심의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확립, 학생이 성공하는 수업과 평가 방안의 구안, 학생의 성장을 담은 질적 과정 중심 평가 방안의 탐색 방안 등에 관해 논의하고 결론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tegrated subject and instruction perceived and the aspects of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used by elementary special teachers who have taught in integrated subject. For this purpose, the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o understand how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class are understood by 8 elementary special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integrated subject instruction of special education, and what are the aspects of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actually used in integrated subject. As a result of the study, six major themes and 18 upper category themes were presented, including a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subject based on life, Themes-based teaching and learning, student activity-based teaching and learning, subject that facilitates successful learning of students, qualitative process-centered evaluation of student growth.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tudy discussed and concluded the ways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life theme, the establish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he theme activity-based instruction, the ways for the successful instruction and evaluations of students, and the ways for the qualitative process-oriented evaluation methods that include the growth of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주영(Jeong Jooyoung). (2021).초등 특수교사의 특수교육 통합교과의 교수·학습 및 평가 양상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4 (2), 23-57

MLA

정주영(Jeong Jooyoung). "초등 특수교사의 특수교육 통합교과의 교수·학습 및 평가 양상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4.2(2021): 23-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