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원형(原型)적 산물로서의 <뱀> 상징
이용수 227
- 영문명
- Symbol Of As Archetype
- 발행기관
-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 저자명
- 이영선(Lee, Young Seon)
- 간행물 정보
- 『모래놀이상담연구』모래놀이상담연구 제12권 제1호, 89~11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5.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상징은 우리가 알 수 없는 비밀스럽고 모호한 무언가를 내포하고 있다. 상징은 정확하게 정의되거나 완벽하게 설명 될 수 없는‘무의식’의 측면을 지닌 상(像)으로써 민속, 민담, 신화, 종교 안에서 다양하게 그 속살을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민속과 민담에서의 뱀의 상징과 고대 사회, 그리스 로마 신화, 성서 속에 등장하는 뱀의 상징들을 살펴보았다. 민속에서 뱀은 공포스러운 존재로 퇴치의 대상으로,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죽음과 재생, 풍요와 다산의 상징으로 등장하고 있다. 또한 민담과 신화에서는 복수의 화신으로, 허물을 벗고 인간으로 재탄생하는 재생과 변환, 치유와 예언의 상징으로 존재함을 알 수 있다. 한편 고대사회에서 뱀은 생명창조, 상승원리, 남성성과 여성성의 상징으로 그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성서 속에서는 인류에게 죄를 짓도록 유혹하는 존재로, 다른 한편으로는 인류를 구원으로 이끄는 숭배의 대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뱀은 전 세계에 걸쳐서 광범위하게 그 상징성을 드러내며 인간정신의 원형적 산물로서 인류의 집단적 무의식에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symbolism implies something secret and obscure that we do not know. The symbolism is revealed in tradition customs, folklore, mythologies, and religion as image with the unconscious aspects which cannot be precisely defined or described completely.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ymbol of a serpent in the traditional customs and serpent tales, and the symbols from ancient societies, Greek and Roman mythologies and the bible. In traditional customs a serpent has been featured as the target of combating because of the fear it brings, as a guardian angel to protect the town, and as the symbol of death & revival, and abundance & fertility. In the folklore and mythologies, I could find a serpent to be the incarnation of revenge, the symbol of revival and transformation by being re-born as a human after shedding its skin. Whereas a serpent in ancient societies unveils itself as a symbol of life creation, a raising principle and masculinity & femininity, a serpent in the bible appears as the existence of temptation to sin on one hand, and as an object of worship, which lead to the salvation of mankind on the other hand. I could find out that a serpent occupies a place in the collective unconscious of humanity as archetypal product of the human spirit, revealing its symbols extensively all over the world.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교류분석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인생태도, 우울, 자아통합에 미치는 효과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상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 스마트폰 의존 및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