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럽공통매매법(CESL) 상의 소비자철회권에 관한 연구
이용수 17
- 영문명
- Right to withdraw in CESL
- 발행기관
- 한국민사법학회
- 저자명
- 박희호(Pak, Hee-Ho)
- 간행물 정보
- 『민사법학』제66호, 365~403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ommon European Sales Law(CESL) provides that the consumer may in principle exercise the right to withdraw within 14 days from the day on which the consumer has taken delivery of the goods(Art. 40 CESL). When he exercises the right of withdrawal, the distance contracts and off-premises contracts terminate immediately. But CESL does not provide concrete effects of the exercise of the right of withdrawal. This incompleteness of the rules of CESL shows us the situation in which the right of withdrawal does not go well with the traditional contract theory. The former is in the late 20th century introduced in our legal system to protect the consumer. It gives him the right to free himself from his obligations without any reasons. But such content of the right of withdrawal collides with the traditional contract principle, pacta sunt servanda and the right of withdrawal has not yet fixed position in contractual law system. This situation results again from the insufficient establishment of the nature of the right to withdraw. Nonetheless, the right of withdrawal cannot be excluded from CESL. The consumer in EU countries, who has long enjoyed the protection through the right of withdrawal, will consider the common sales law that has no rule of the right of withdrawal as regressive. The maker of CESL has no choice but to proceed with the legislation in incomplete form in relation to the right of withdrawal. Otherwise he would give up the whole CESL.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소비자철회권의 의의
Ⅲ. 소비자철회권의 발생
Ⅳ. 소비자철회권의 행사
Ⅴ. 철회의 효과
Ⅵ. 편면적 강행규정
Ⅶ.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정 민법상의 후견계약의 특징, 문제점 그리고 개선방향
- 채권자취소권에 관한 민법 개정안 연구
- 미국 불법행위법상 비재산적 손해의 배상과 그 한계
- 유럽공통매매법(CESL) 상의 소비자철회권에 관한 연구
- 미국 배액배상제도 및 법정손해배상제도의 도입에 관한 소고
- 미국 불법행위법상의 기여과실
- 유럽공통매매법의 불공정한 계약조항
- 유럽공통매매법(CESL)안에서의 약관의 충돌 문제
- 지적재조사에서의 경계설정 기준에 관한 연구
- 민법에서 채무자 아닌 제3자의 행위에 의한 채무변제제도의 연구
- 제3자와의 약정에 따른 타인 사무의 처리는 사무관리가 될 수 없는가
- 미국 불법행위법상 손해배상의 범위에 관한 일반론적 고찰
- 한국의 프랜차이즈계약 관련 법제현황 및 과제
- 효력규정의 실효성을 제고하는 일부무효의 법리 적용례에 관한 고찰
- KIKO계약의 구조에 관한 연구
- 키코판결과 설명의무
- 불법행위의 예견가능성과 손해배상범위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일본의 노인 삶의 보람 취로 현황 및 과제: 삶의 보람 취로에서 삶의 보람 활동으로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저소득 청년이 인지하는 고용장벽의 유형화
- 중장년 약물중독 회복당사자의 외로움 영향요인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