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적재조사에서의 경계설정 기준에 관한 연구
이용수 23
- 영문명
- Ein Studium über Maßstab für Abgrenzung in der Wiederermittlung des Liegenschaftskatarsters
- 발행기관
- 한국민사법학회
- 저자명
- 임형택(Lim, Hyung Taek)
- 간행물 정보
- 『민사법학』제66호, 619~656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as Sondergesetz zur Wiederermittlung des Liegenschaftskatarsters in Süd-Korea(KWLG) ist am 17. März 2012 in Kraft getreten, um die Divergenz zwischen der Grenzung nach dem Liegenschaftskatarsters und der Grenzung nach dem Besitzstand zu lösen. In diesem Gesetz spielt die Vorschrift über Maßstab für Abgrenzung des Grundstücks eine große Rolle. § 14 Abs. 1. KWLG lautet: Das Vermessungsamt hat die Grundstücksgrenze in der Wiederermittlung des Liegenschaftskatarsters nach dem folgenden Rang zu entscheiden. die Grenze nach dem Besitzstand, wenn zwischen zwei Grundstückseigentümern über die wirkliche Grundstücksgrenze selbst kein Streit herrschen, die das Vermessugsmaterial zu Vermessungszeit ermittelnde Grenze, wenn zwischen zwei Grundstückseigentümern über die wirkliche Grundstücksgrenze selbst Streit herrsen, die Grenze nach der im Lokal geltenden Gewohnheiten und Gebräuche. Die Vorschrift für Abgrenzung des Grundstücks ist aber teilweise in inhaltlicher Hinsicht undeutlich, teilweise in systematischer Hinsicht eine Lücke im Gesetz. Um die Probleme zu lösen, wird in diesem Aufsatz der neue Maßstab für Abgrenzung des Grundstücks, § 920 BGB zum Vorbild zu nehmen, vertritt. Es ist dafür unentbehrlich, genauer den Inhalt des § 920 BGB einzugehen. Der zunächst Maßstab für die Abgrenzung ist dabei der Besizstand. Kann der Besizstand nicht mehr festgestellt werden, dann erfolgt eine Aufteilung dargestalt, daß jedem Grundstück ein gleichgroßes Stück der streitigen Fläche zugeteilt wird. Die Festlegung der Grenze hat in beiden Fällen nach billigem Ermessen zu erfolgen.
목차
Ⅰ. 서론
Ⅱ. 지적불부합지의 유형과 발생원인
Ⅲ. 지적재조사특별법에서의 경계설정 기준
Ⅳ. 경계설정기준에 관한 제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정 민법상의 후견계약의 특징, 문제점 그리고 개선방향
- 유럽공통매매법(CESL) 상의 소비자철회권에 관한 연구
- 미국 불법행위법상 비재산적 손해의 배상과 그 한계
- 유럽공통매매법(CESL)안에서의 약관의 충돌 문제
- 채권자취소권에 관한 민법 개정안 연구
- 미국 배액배상제도 및 법정손해배상제도의 도입에 관한 소고
- 미국 불법행위법상 손해배상의 범위에 관한 일반론적 고찰
- KIKO계약의 구조에 관한 연구
- 지적재조사에서의 경계설정 기준에 관한 연구
- 미국 불법행위법상의 기여과실
- 제3자와의 약정에 따른 타인 사무의 처리는 사무관리가 될 수 없는가
- 한국의 프랜차이즈계약 관련 법제현황 및 과제
- 효력규정의 실효성을 제고하는 일부무효의 법리 적용례에 관한 고찰
- 유럽공통매매법의 불공정한 계약조항
- 키코판결과 설명의무
- 민법에서 채무자 아닌 제3자의 행위에 의한 채무변제제도의 연구
- 불법행위의 예견가능성과 손해배상범위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Journal of Asia Social Science Vol.13 No.2 Contents
- Research on the Innovative Practice and Optimisation Path of Microclasses in the Teaching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 The Birth of the “Internet Hippies”: Chinese Youth Subculture in the Perspective of Mirror Theor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