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 시대의 보육: 어린이집의 운영 실태와 과제
이용수 588
- 영문명
- Child Care in the Covid-19 Era: Operation and Tasks of Child Care Centers
- 발행기관
- 한국보육지원학회
- 저자명
- 신나리(Nary Shin) 김상림(Sanglim Kim) 이주연(Joo-Yeon Lee) 송승민(Seung-Min Song) 백선정(Sunjung Baek)
- 간행물 정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제17권 제2호, 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 Covid-19 is changing many aspects of child care program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the pandemic and mitigation efforts affected the experiences and practices at child care centers in the summer of 2020.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and mobil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principals and teachers of child care centers in August and September 2020.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frequency distribution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and mean differences were used to analyze the survey data with SPSS 22.0.
Results: It was found that each sector of child care settings experienced different difficulties and had various needs. Young children s lack of energy, child care teachers workload and stress, and principles’ efforts to interrupt transmission of the infectious disease based on insufficient government guideline and supports were
revealed as the main experiences.
Conclusion/Implications: The Covid-19 pandemic has had a tandem of influences on daily life at child care centers. As policy makers consider additional guidelines or supports measures to prevent the infection and spread of Covid-19 at child care centers, long-term as well as short-term plans at various levels should be considered to meet the unique needs of child care program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원장의 코칭 리더십이 교사의 놀이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반성적 사고와 창의적 역할수행의 매개효과
- 교사의 놀이성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코로나19 시대의 보육환경 내 영유아의 사회적 경험
- 영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근무환경, 소진 및 건강상태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
-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 내면의 힘이 어머니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시대의 보육: 어린이집의 운영 실태와 과제
- 보육교사의 놀이성이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5권 목차
- The impact of multimorbidity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ng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