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플라톤 「국가」의 동굴 비유에 나타난 교육의 목적
이용수 1,274
- 영문명
- The Purpose of Education in the Cave Analyses of Plato s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수(Min-Soo Kim) 정혜진(Hye-Jin Jung)
- 간행물 정보
-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2권 제4호, 71~8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플라톤 「국가」에 제시된 동굴의 비유를 단계별로 나누어 상세히 고찰해봄으로써 동굴의 비유에서 드러나는 교육의 목적이 무엇인가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동굴의 비유는 「국가」 전체에 걸쳐서 제시된 최고의 수호자가 되기 위한 교육의 과정과 그 어려움을 여실하게 보여준다. 또한 동굴 밖으로 나간 사람이 동굴로 다시 회귀하여 수인들에게 좋은 것의 형식을 보도록 독려하는 모습은 가르치는 사람으로서의 교사의 전형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동굴의 비유에서의 교사는 자신의 가르치는 행위를 통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좋은 것의 형식’을 인식할 수 있도록 이끄는 사람이며 그 결과 인간다운 삶을 살도록 안내하는 사람이다. 교사의 가르침을 통해 최고 수호자를 기르기위한 교육이 올바르게 이루어질 때 그 국가는 올바른 환경으로 둘러싸이고 그 속에서 사는 개개인은 자신이 모방하고 있는 그 대상의 본질을 인식하여 점차 그것과 닮아갈 수 있게 된다. 결국, 플라톤의 「국가」에 제시되어 있는 교육의 목적은 사람들로 하여금 ‘좋은 것의 형식’을 인식하게 하여 인간다운 삶을 살아가게 하는 데에 있다. 동굴의 비유는 이 일이 얼마나 어려운 일이며 이 어려운 일이 다름 아닌 ‘교사의 일’이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aim of education presented in Plato s allegory of the cave, from The Republic, by examining each stage in the allegory of the cave in detail. The allegory of the cave intensively illustrates the process of education required of a philosopher-king presented throughout the Republic, using many forms of symbolism, and the escaped prisoner who returned to the cave and tried to free the other prisoners presents the difficulty of teaching. A teacher guides students to realize the Form of the Good through his acts of teaching, which results in leading them to a good life. The successful of the leads the country surrounded by the virtuous environment in which each individual gradually recognizes the true nature of the philosopher-Kings he imitates and resembles them. In conclusion, the goal of education recommended by Plato is to help people acquire the knowledge of the Form of the Good and live a good life, and the allegory of the cave shows how difficult it is and that it is the roles of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동굴의 비유: 단계별 고찰
Ⅲ. 동굴의 비유에 나타난 교육의 목적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유교육에서의 비개념적 지식과 실재: 마리땡(Maritain)의 인식론을 중심으로
- 도덕교육의 목적으로서의 자기인식: 아퀴나스의 자기인식이론을 중심으로
- 도덕적 생명향상의 필요성과 윤리적 쟁점
- 카스틸리오네 「정신의 서」의 교육학적 해석: 무심함과 우아함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을 중심으로
- 플라톤 「국가」의 동굴 비유에 나타난 교육의 목적
- ‘상상’으로서의 지식: 콜링우드의 관점
- ‘시의 목소리’ 개념에 비추어본 교과통합의 의미
- 교육목적에 대한 오해와 이해
- 에로스(Eros)의 두 가지 측면이 학습과 교수의 개념에 주는 시사점: 대화편 「파이드로스」를 중심으로
- 불교 출가수행의 교육학적 의미: 자리행(自利行)과 이타행(利他行)을 중심으로
- 사랑의 역사로서의 인격함양
- 「小學」에 나타난 반복 양식의 도덕교육적 의의
- 폴라니의 자득지 인식론의 재조명: 메타프락시스적 관점
- 예술과 유희: 플라톤과 쉴러의 교육론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