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덕교육의 목적으로서의 자기인식: 아퀴나스의 자기인식이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202
- 영문명
- Self-Knowledge As the End of Moral Education: Focused on Thomas Aquinas’ theory of Self-Knowledge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저자명
- 한찬희(Chan-Hee Han)
- 간행물 정보
-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2권 제4호, 247~26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너 자신을 알라’는 델피 신전의 권고를 자신의 필생의 과제로 받아들인 소크라테스 이래로 자기인식은 삶과 교육이 추구해야 할 가장 중요한 목적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자기인식은 주체와 대상, 마음과 세계의 구분이 의미 있게 성립하지 않는 상태를 가리키며, ‘사물과 지성의 일치’라는 중세 전성기의 진리 규정에는 이 상태를 추구하는 삶과 교육의 오랜 전통이 녹아 들어있다. 아퀴나스의 용어로 ‘완전한 귀환’(reditio completa)으로 불리는 자기인식의 최종 국면은 ‘행복’(felicitas)을 넘어서 ‘지복’(beatitudo)을 누리는 경지를 가리키며, 이는 우리의 삶과 교육이 지향해야 할 최고 수준의 목적에 해당한다. 이 글의 목적은 아퀴나스의 자기인식이론에 비추어 도덕교육이 그것에 참여하는 당사자의 삶을 자기인식으로 이끄는 실천이라는 사실을 밝히는 데 있다. 일상의 사태에서 손쉽게 드러나지 않는 삶의 온전한 현실은 개념의 매개를 빌어 일어나는 교사와 학생의 지적 대화에 의해 비로소 탈은폐되며, 이 과정 속에서 교사와 학생은 ‘삼라만상을 수용할 수 있는 인간’(homo capax universi) 이상을 실현하고 있다.
영문 초록
Self-Knowledge(from the medieval idiom, “the soul’s knowledge of itself”)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facing moral education since Socrates, who accepted the Delphian exhortation “Know thyself” as his existential task. Self-Knowledg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distinc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mind and world is not meaningfully applied. The medieval definition of the truth[adaequatio rei et intellectus] implies a long tradition of life and education that pursues self-knowledge. The final phase of self-knowledge, namely “complete return”[reditio completa], refers to a state of “perfect happiness”[beatitudo] that is beyond “imperfect happiness”[felicita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the fact that moral education, in the light of Thomas Aquinas’ theory of self-knowledge, is a practice that leads the participant to the pursuit of self-knowledge. The reality, which is not easily revealed, begins to be uncovered by intellectual conversations which take place through the medium of Concept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n the intellectual conversations, teacher and students are realizing the ideal of homo capax universi.
목차
Ⅰ. 서론
Ⅱ. 자기인식이론으로서의 추상이론
Ⅲ. 자기인식의 도덕교육적 의미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유교육에서의 비개념적 지식과 실재: 마리땡(Maritain)의 인식론을 중심으로
- 도덕교육의 목적으로서의 자기인식: 아퀴나스의 자기인식이론을 중심으로
- 도덕적 생명향상의 필요성과 윤리적 쟁점
- 카스틸리오네 「정신의 서」의 교육학적 해석: 무심함과 우아함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을 중심으로
- 플라톤 「국가」의 동굴 비유에 나타난 교육의 목적
- ‘상상’으로서의 지식: 콜링우드의 관점
- ‘시의 목소리’ 개념에 비추어본 교과통합의 의미
- 교육목적에 대한 오해와 이해
- 에로스(Eros)의 두 가지 측면이 학습과 교수의 개념에 주는 시사점: 대화편 「파이드로스」를 중심으로
- 불교 출가수행의 교육학적 의미: 자리행(自利行)과 이타행(利他行)을 중심으로
- 사랑의 역사로서의 인격함양
- 「小學」에 나타난 반복 양식의 도덕교육적 의의
- 폴라니의 자득지 인식론의 재조명: 메타프락시스적 관점
- 예술과 유희: 플라톤과 쉴러의 교육론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