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플립 러닝을 적용한 대학 의복구성 수업이 자기주도학습 및 실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48
- 영문명
- Effects of clothing construction classes in universities applied with flipped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practical skills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최진희(Choi, Jin-Hee) 최수이(Choi, Sui)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19권 제1호, 97~11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 러닝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향후 다른 실습수업에 플립 러닝을 적용할 때 도움이 되는 체계적인 가이드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J대학교 패션산업학과 1학년 4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는 SPSS 26을 활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고, 수업 구조화의 평가를 위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실습 과목에 적용한 플립 러닝은 학습자들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며 수업 전 중 후의 모든 활동이 잘 연계되어 있어 복잡한 과제 해결 능력도 향상되었다. 따라서, 플립 러닝을 적용한 실습 과목 설계는 학습자들의 학습 영역을 넓힐 수 있도록 수업의 전 중 후 활동을 연계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and develop a systematic guide to help in future applications to other hands-on classes. To this end, a study of 43 first-year fashion industry students performed a t-test of an appropriate sample using SPSS 26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ssess class structure. As a result, flipped learning, applied to practical subjects, has an effect on improving students self-study ability, and all the activities before and after the lesson are well connected, improving the ability to solve complex problems. Therefore, practical subject designs with flipped learning suggest that assignments and activities before and after classes should be linked so that learners can broaden their learning domain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및 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사고 개발 가능성: 영화 ‘미키17’과 봉준호감독의 인간 이해와 창작 철학을 중심으로
- 조직공정성이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사무량심에 기반한 유아기 부모 양육 경험의 해석현상학적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