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obile SMS와 상담을 기반으로 한 노인용 대장내시경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이용수 47
- 영문명
-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Mobile SMS and Counseling for Colonoscopy in the Elderly
- 발행기관
- 한국기초간호학회
- 저자명
- 이영순(Lee Yeong Sun) 이봉조(Lee Bong Jo) 하창윤(Ha Chang Yoon) 전미양(Jeon Mi Yang)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제23권 제1호, 64~71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mobile SMS and counseling for colonoscopy in elderly people. Methods: The study utiliz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a non-synchronized design a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72 elderly people (36 elderly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6 in the control group). Among the subjects, 49 were male (68.1%) and 23 were female (31.9%), and the age was 69.04±6.14 years. Forty-five subjects (62.5%) answered that they had underlying diseases, eight subjects (11.1%) had a family history of colon disease, and 61 subjects (84.7%) had undergone a colonoscopy.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an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mobile SMS and counseling when three days and one day before the test. The control group received verbal explanations using information shee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Chi-squares test, and the independent t-test with SPSS/WIN 21.0.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bowel cleanliness scores (t=3.60, p=.003) between the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een between the groups in the sedation drug dosage (propofol (t=1.02, p=.730), midazolam (t=0.66, p=.380)) and time for colonoscopy (t=1.08, p=.235).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mobile SMS and counseling for colonoscopy was proposed as an educational program before colonoscopy.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술실간호사와 병동간호사의 감염관련특성과 환자안전문화가 혈행성 감염예방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표면소독제로써의 항균효과
- 대학생의 성별,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 정도에 따른 심박변이도 차이: Neurovisceral integration model에 기반하여
- 갑상선절제술을 받은 갑상선암 환자의 질병증상, 질병인식, 대처와 삶의 질과의 관련성
- 제 2형 성인 당뇨병 유병자의 혈당조절 취약군 예측: 제7기(2016-201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
- 의료종사자, 환자, 일반인의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행동 지침에 대한 인식과 수행 비교
- Mobile SMS와 상담을 기반으로 한 노인용 대장내시경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폐절제술을 받은 폐암환자의 영양섭취 상태와 수술 후 폐합병증
- 보행로봇 재활치료가 편마비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혼합연구설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정신건강 중재에 대한 연구 동향: 계량서지학적 분석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부모 매개 중재(Parent-mediated intevention)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