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주도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표면소독제로써의 항균효과
이용수 63
- 영문명
- Effect of Antimicrobiotic of Opuntia ficus-indica on Surface Disinfection
- 발행기관
- 한국기초간호학회
- 저자명
- 권영란(Kwon Young-ran) 김다송(Kim Da-Song) 신현재(Shin Hyun-Jae)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제23권 제1호, 1~1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verify the anti-microbiotic activity and to develop eco-friendly surface disinfectants using the Opuntia ficus-indica extract. Methods: The stem and fruits of the Opuntia cultivated in Jeju Island were extracted with hot water, 70% EtOH and 100% MeOH, respectively. To examin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tracts, gram positive bacteria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gram negative bacteria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yeast (Candida albicans), mold (Aspergillus flavus) and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E. coli, S. aureus) were measured to form a clear zone. Results: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fruit extrac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tem extract, and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100% MeOH (FM) extract and the 70% EtOH (FE) extract of the palm cactus fruit was suitable for the surface disinfectant overall, and clear-zone formed even at relatively low concentrations (250 mg/mL). The FM and FE hav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various bacteria, therefore they can be used as disinfectants. Conclusi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Opuntia ficus-indica extract from Jeju Island by stem and fruit was determined at relatively low concentrations (250 mg/mL). The Opuntia ficus-indica extract will be useful for surface disinfectants dissolving the patients’ bath, oral gargling, and powdered powder in water or ethanol in appropriate concentrations.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술실간호사와 병동간호사의 감염관련특성과 환자안전문화가 혈행성 감염예방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표면소독제로써의 항균효과
- 대학생의 성별,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 정도에 따른 심박변이도 차이: Neurovisceral integration model에 기반하여
- 갑상선절제술을 받은 갑상선암 환자의 질병증상, 질병인식, 대처와 삶의 질과의 관련성
- 제 2형 성인 당뇨병 유병자의 혈당조절 취약군 예측: 제7기(2016-201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
- 의료종사자, 환자, 일반인의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행동 지침에 대한 인식과 수행 비교
- Mobile SMS와 상담을 기반으로 한 노인용 대장내시경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폐절제술을 받은 폐암환자의 영양섭취 상태와 수술 후 폐합병증
- 보행로봇 재활치료가 편마비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혼합연구설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정신건강 중재에 대한 연구 동향: 계량서지학적 분석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부모 매개 중재(Parent-mediated intevention)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