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료종사자, 환자, 일반인의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행동 지침에 대한 인식과 수행 비교
이용수 799
- 영문명
- A Comparison of the Perception of and Adherence to the COVID-19 Social Distancing Behavior Guidelines among Health Care Workers, Patients, and General Public
- 발행기관
- 한국기초간호학회
- 저자명
- 허연정(Heo Yeon Jeong) 남소희(Nam So Hee) 정재심(Jeong Jae Sim) 김연희(Kim Yeon Hee)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제23권 제1호, 55~6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and adherence to the COVID-19 social distancing behavior guidelines among health care workers, patients, and the general public and to use them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Methods: From October 16 2020 to November 30, 2020,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85 health care workers, 85 patients, and 82 general public regarding the perception of and adherence to the COVID-19 social distancing behavior guidelines. Results: Pati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eneral public in the adherence to the COVID-19 social distancing behavior guidelin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health care workers and general public, and patients and health care workers.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adherence of the COVID-19 social distancing behavior guide were found in women and the perception of the COVID-19 social distancing behavior guideline. Conclusion: In order to promote the implementation of the COVID-19 social distancing behavior guidelin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erception of the COVID-19 social distancing behavior guideline and provide additional education in men.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reason behind why men have low adherence to the COVID-19 social distancing behavior guideline.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술실간호사와 병동간호사의 감염관련특성과 환자안전문화가 혈행성 감염예방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표면소독제로써의 항균효과
- 대학생의 성별,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 정도에 따른 심박변이도 차이: Neurovisceral integration model에 기반하여
- 갑상선절제술을 받은 갑상선암 환자의 질병증상, 질병인식, 대처와 삶의 질과의 관련성
- 제 2형 성인 당뇨병 유병자의 혈당조절 취약군 예측: 제7기(2016-201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
- 의료종사자, 환자, 일반인의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행동 지침에 대한 인식과 수행 비교
- Mobile SMS와 상담을 기반으로 한 노인용 대장내시경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폐절제술을 받은 폐암환자의 영양섭취 상태와 수술 후 폐합병증
- 보행로봇 재활치료가 편마비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혼합연구설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