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교육이 대학생들의 생활 속의 음악활동과 음악회 참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19
- 영문명
- Influence of Music Education on Music Activities in Lives and the Attendance of Music Concerts of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최진호(Jin Ho Choi)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46호, 205~21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1.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음악관련 교양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들을 대상(n=183)으로 음악교육경험이 생활 속의 음악활동과 음악회 참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이 음악교육을 받은 기간은 평균 5.20년이었고, 음악회 참석 횟수는 3년 간 평균 2.19회를 참석하였으며, 하루 평균 음악 감상시간은 2.29 시간을 듣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음악교육을 받은 악기는 피아노로 전체 참가자 183명 중 55%에 해당하는 101명이 배워, 피아노를 통한 음악교육이 가장 보편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 속 음악활동은 합창이 전체 대학생들의 음악활동 중 40%이상을 차지하여 가장 일반적인 생활 속 음악활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들의 현재 생활 속에 음악활동 여부에 따른 실제 음악교육을 받은 기간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와 대학생들은 음악교육을 받은 경험이 많으면 많을수록 생활 속의 음악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3.01, p<.05). 넷째, 음악교육경험이 많고, 기간이 길수록 실제 음악회에 참석하는 횟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t=-4.68, p<.05). 정리하면, 대학생들의 생활 속 음악활동을 장려하고 음악회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생들이 음악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여, 음악교육을 더욱 활성화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usic education experience on music activities and attendance of music concerts of college students (n=183).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college students received an average 5.20 years of music education, an average 2.19 attendances of music concerts in three years, and an average of 2.29 hours of listening to music per day. Second, piano was the most common music education in that 55% (101 out of 183) of participants learned piano, and attending choirs was the most common music activity (40%) in their lives.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ce on whether or not the music activity in the current life of college students (t=-3.01, p<.05). College students who received more music education were actively participating in music in life. Fourt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ce on attendance rate of music concert (t=-4.68, p<.05) in that the more music education experience, the more attendance of music concerts. In summary, it is important to motivate college students to receive music education and provide a variety of opportunities to further revitalize music education in order to encourage music activities in their lives and increase participation in music concer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든의 음악학습이론과 연계된 음악 교과서 교사용지도서 연구
- 2015개정 교육과정 음악교과서 국악 제재 곡과 음악 요소에 대한 중학생의 선호도와 친숙도 조사
- 테크놀로지 관련 음악교육 연구 동향
- 오케스트라 동호회 활동의 만족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음악 교수·학습 과정에서 형성평가 실행의 의미
- 초등학생의 로봇 작곡 활동을 통한 음악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성별(Gender)이 자아 효능감, 즐거움, 역량에 미치는 영향
- 원격수업을 위한 교육용 가야금 애플리케이션 개발
- 음악교육이 대학생들의 생활 속의 음악활동과 음악회 참석에 미치는 영향
- [게재철회] 초등음악교사의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인식과 실행에 관한 사례 연구
- 협동학습 모형을 활용한 원격수업 음악과 프로그램 개발
- 교원양성기관의 음악교과 수업에 대한 예비 교사의 온라인 수업 인식 조사
- 표현적 타이밍과 신체의 움직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