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 이용에 관한 연구
이용수 651
- 영문명
- A Study on the Use of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Stroke Patients
- 발행기관
-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이호승(Lee, Ho-Seung) 정민예(Jung, Min-Ye)
- 간행물 정보
-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제2권 제2호, 17~2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재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전문재활이용 현황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재활치료 전달체계 확립을 위한 근거자료로 제시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6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뇌졸중 진단을 받은 입원 환자 중 1년 이내 뇌졸중 진단 이력이 없으며, 주 상병코드가 I60, I61, I62, I63이며, 18세 이상 100세 이하로 영상의학검사(MRI/CT)를 받은 환자 78,024명을 대상으로 의료기관별·재활단계별 입원비율, 전문재활치료율, 항목별 전문재활치료율, 병원이동에 따른 전문재활치료율을 분석하였다.
결과 : 급성기와 아급성기에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전문재활치료가 이시기에 이루어지지 못하고, 아급성기와 만성기시기 까지 오랜 기간 동안 병원과 요양병원에서 전문재활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뇌졸중 환자의 항목별 전문재활치료 청구 현황을 의료기관별, 재활단계별로 구분하였을 때 물리치료는 중추신경계발달치료, 기능적전기자극치료, 보행치료, 매트 및 이동치료 순이었으며 작업치료는 연하재활 기능적전기자극치료, 일상생활동작훈련치료, 복합작업치료, 특수작업치료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초기 재활시기에 전문재활서비스를 충분히 집중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새로운 전달체계의 새로운 기준 정립이 이루어져 회복기간에 맞는 알맞은 재활서비스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pecial rehabilitation use in stroke patients and present them as evidence for establishing an effec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delivery system.
Methods : This study targeted patients with the main injury codes I60, I61, I62, and I63 from January 1, 2016 to December 31, 2016. Hospitalization rates by medical institution, specialized rehabilitation treatment rates, treatment rates by specialized rehabilitation items,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rates according to hospital transfer were analyzed.
Results : During the acute and subacute periods, specialized rehabilitation treatment, which had to be performed intensively in tertiar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was not performed. Specialized rehabilitation treatment was performed in hospitals and long-term care hospitals for a long period of time for the subacute and chronic periods. In addition, the most specialized rehabilitation treatments for stroke patients were MM114, MZ008, MM105, and MM151.
Conclusions : To provide special rehabilitation services sufficiently intensively during the initial rehabilitation period, the type of treatment, treatment period and domain of treatment should be defined and a new fee according to this system should be develop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