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뇌졸중 재활의 조기퇴원지지(Early Supported Discharge) 서비스에 대한 고찰
이용수 300
- 영문명
- Review of the Early Supported Discharge Service in Stroke Rehabilitation
- 발행기관
-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황나경(Hwang, Na-K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제2권 제2호, 55~6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재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서론 : 본 연구는 조기퇴원지지 서비스와 그 효과성에 대해 고찰하고, 국내 뇌졸중 재활의료 현실에서 서비스도입의 필요성과 서비스 내 작업치료 접근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론 : 조기퇴원지지는 뇌졸중 재활의료의 체계가 선진화된 여러 국가에서 시행되는 제도로 재활과 사회 자원에 대한 서비스를 병원에서 지역 사회 환경으로 조기 전환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경증에서 중등증 뇌졸중 환자를 서비스 대상으로 하며 환자는 조기퇴원 후 가정에서 병원과 유사한 정도의 재활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선행연구들을 통해 조기퇴원지지 서비스의 의학적 효과성과 개인적, 사회적 부담을 감소시키는 비용 효율적 중재임이 보고되어 왔다. 가정과 지역사회 복귀가 가능한 경증, 중등증 환자들이 지속적으로 병원 입원을 통해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국내 뇌졸중 재활의료 현실에서 조기퇴원지지서비스는 효율적 재활의 료자원 이용과 재활의료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하나의 재활의료 모델이 될 수 있다.
결론 : 향후 국내 재활의료 현실에 적합한 뇌졸중 환자의 조기퇴원지지 서비스 시범사업과 이를 통한 효과성 검증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조기퇴원지지의 근간인 가정방문재활서비스 중 현재 제도적 미비로 확립되지 못하고 있는 국내 방문작업치료 서비스에 대한 학술, 정책적 노력을 위한 논의들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Introduction : This study aimed to review early supported discharge (ESD) and its effectiveness, and present the necessity of implementing an ESD service in the reality of domestic stroke rehabilitation medicine healthcare and the direction of occupational therapy approaches in ESD.
Body : The ESD is a system implemented in various countries with advanced stroke rehabilitation medicine healthcare systems, and aims at early transition of rehabilitation and social resource services from the hospital to the community environment. It targets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stroke, and these patients receive rehabilitation services similar to those at home after early discharge.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ESD is a cost-effective intervention. It has medical effectiveness and reduces personal and social burdens. For patients with mild and moderate stroke can return home and to the community continuously receive rehabilitation treatment through hospital admission, ESD can be a rehabilitation healthcare model for efficient use of resources and establish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healthcare delivery systems.
Conclusion : Pilot projects of ESD suitable for domestic rehabilitation medicine healthcare and studies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rough these projects will be needed.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discussions on academic and policy efforts for domestic home-visit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which is currently not established due to institutional deficiencies, be activated.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Ⅲ.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