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식의 정초
이용수 46
- 영문명
- Foundations of Knowledge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저자명
- 박상철(Sang-Cheol Park)
- 간행물 정보
-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24권 제3호, 175~19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회적 인식론은 한편으로, 지식의 정초를 부정하는 후현대주의를 반대하면서, 또 한편으로, 후현대주의가 부정하는 정초주의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사회적 인식론이 이 입장을 취할 수 있으려면 실재-진리와 언어-사고-관례의 차이와 관련을 특별한 방식으로 해석하지 않으면 안된다. 개념적 구분 또는 중층구조와 메타프락시스의 아이디어에 의한 해석이 그것이다. 이 해석에 의하면, 실재-진리와 언어-사고-관례는 사실상으로 분리되어 있지는 않지만 논리상으로 구분되며, 실재-진리는 언어-사고-관례에 시간상으로 우선하여 존재하는 무엇이 아니라 언어-사고-관례 안에서 지식을 추구하는 실천 행위에 의해 확립되는 ‘초월적’ 기준으로 간주된다.
영문 초록
Social epistemology stands on the opposite side of post-modernism. But this does not mean that it stands on the same side of foundationalism. If this perilous attitude of social epistemology earns a stable ground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it cannot but interpre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ty-truth and language-thought-convention in the light of the theory of twofold structure and meta-praxis. According to this interpretation, reality-truth does not exist in the outside of language-thought-convention, but the inside of them; the difference is not empirical separation but logical distinction. And, reality-truth does not exist prior to temporally, but exist in this world because of the practices of pursuing reality-truth, human endeavor for the extension of knowledge.
목차
Ⅰ. 서론
Ⅱ. 정초와 권력
Ⅲ. 실재와 언어, 그리고 정초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