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교사의 친밀관계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이용수 151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for young children on their depression: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self-compassion
- 발행기관
- 한국보육지원학회
- 저자명
- 최인숙(Insuk Choi) 채진영(Jin-Young Chae)
- 간행물 정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제16권 제5호, 201~2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for young children on their depression and to see whether there would be a mediating effect of their self-compass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206 teachers recruited from Seoul and five different provinces who currently worked at the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frequency, percentages, Cronbach’s reliability coefficient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 25.0 and model 4 provided in The PROCESS macro for SPSS 3.4 version.
Resul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ed. First, the teachers’ degrees of anxiety and avoidance for their close relationships were below the median scores. In contrast their degree of self-compassion was above the median score. In addition, their level of depression was relatively low. Second, both of the teachers’ anxiety and avoidance for their close relationship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depression and their self-compassion, and there were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in both cases.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early attachment experience connecting the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s in the adulthood is important an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enhance teachers’ self-compassion to protect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만 5세 반 유아의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 만들기프로그램이 음악 적성과 음악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친밀관계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만 1세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과 교사의 민감성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교사-유아 관계의 갈등 및 친밀감에 대한 예측 모형
- 영아교사의 경력 및 교사효능감과 민감성, 전문성 발달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통합어린이집 보육교사와 특수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도 비교 및 증진방안
- 예비유아교사의 유아환경교육에 대한 개념도 연구
- STEAM교육 접근에 의한 언플러그드 로봇 놀이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적 및 사회적 인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 메타포 분석을 통해 본 고경력 보육교사의 위치성
- 반성적 저널에 나타난 (예비) 유아교사들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 대한 반성적 사고 및 의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