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유아 관계의 갈등 및 친밀감에 대한 예측 모형
이용수 196
- 영문명
- Prediction Models of Conflict and Intimacy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 Investigation of Child Variables Based on Decision Tree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보육지원학회
- 저자명
- 신유림(Yoolim Shin)
- 간행물 정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제16권 제5호, 69~8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prediction models of conflict and intimacy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based on decision tree analysi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97 3, 4, 5 aged preschool children including 166 boys and 131 girls. Teacher-child relationships were measured by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STRS). Physical, relational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prosocial behaviors were measured by teacher ratings. Morevoer, ADHD-RS(Attentive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Rating Scale) was used to measure ADHD. The data was canalized with decision tre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prediction model for teacher-child conflict, the significant predictors were physical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According to the prediction model for teacher-child intimacy, the significant predictors were prosocial behaviors and relational aggression. However, children’s age, gender and ADHD were not significant predictors.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social behaviors may be closely related with teacher-child relationships for preschool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tervention suggestions were mad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만 5세 반 유아의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 만들기프로그램이 음악 적성과 음악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친밀관계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만 1세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과 교사의 민감성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교사-유아 관계의 갈등 및 친밀감에 대한 예측 모형
- 영아교사의 경력 및 교사효능감과 민감성, 전문성 발달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통합어린이집 보육교사와 특수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도 비교 및 증진방안
- 예비유아교사의 유아환경교육에 대한 개념도 연구
- STEAM교육 접근에 의한 언플러그드 로봇 놀이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적 및 사회적 인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 메타포 분석을 통해 본 고경력 보육교사의 위치성
- 반성적 저널에 나타난 (예비) 유아교사들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 대한 반성적 사고 및 의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