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그룹 음악활동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대인관계 능력과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748

영문명
The Effects of Group Music Activity on the Improve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Quality of Life of Chronic Schizophrenia
발행기관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저자명
이성현(Lee, Seong-Hyun) 황은영(Hwang, Eun-Young)
간행물 정보
『예술심리치료연구』제16권 제3호, 39~6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재활시설에서 사회복귀를 준비하는 만성 조현병 환자들에게 노래부르기, 악기연주 등 다양한 음악경험으로 구성된 그룹 음악활동을 시행 후 이들의 대인관계 능력과 삶의 질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은 S지역 정신재활시설 이용자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54명으로 이 중 31명은 실험집단, 23명은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은 회기별 45분씩 12회기로 구성된 그룹 음악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에는 관련 중재를 하지 않았으며 이후 다시 동일한 척도를 사용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음악활동 프로그램은 검사도구의 하위영역을 반영하여 목적과 단계를 구성하였다. 검사도구는 대인관계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Schlein & Guerney(1977)가 개발한 도구를 전석균(1994)이 한국의 실정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한 대인관계 능력 척도(RCS)를,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서 국승희(2001)가 개발한 정신질환자를 위한 삶의 질 척도(Happy-QOL)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능력 점수는 전체 하위항목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실험집단의 삶의 질 점수는 전체 하위항목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그룹 음악활동이 만성 정신질환자의 대인관계 능력과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group music activities had the effect of improving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quality of life for chronic schizophreni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4 peopl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mong the users of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the S area, of which 31 were the experimental group and 23 were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12 sessions of music activities consisting of 45 minutes per session. The test tool use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Scale (RCS) to measure interpersonal relations skills and the Quality Of Life Scale (Happy-QOL) to measure quality of life. Both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assessed before the experiment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st group s relationship ability sco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sub-item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quality of lif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sub-item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usic activ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 ability and quality of life of chronic schizophrenia.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현(Lee, Seong-Hyun),황은영(Hwang, Eun-Young). (2020).그룹 음악활동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대인관계 능력과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16 (3), 39-65

MLA

이성현(Lee, Seong-Hyun),황은영(Hwang, Eun-Young). "그룹 음악활동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대인관계 능력과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16.3(2020): 39-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