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이후 신안보 위협과 대응전략
이용수 801
- 영문명
-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and Risk Management Since Corona19
- 발행기관
- 한국보안관리학회(구:한국경호경비학회)
- 저자명
- 석재왕(Seok,Jae-Wang) 오일석(Oh,Il-Seok)
- 간행물 정보
- 『시큐리티연구』시큐리티연구 제64호, 117~13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사태 이후 발생하는 새로운 안보위협 유형과 국가안보 패러다임의 변화 양상들을 살펴보고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팬데믹으로 불리는 코로나19는 국가안보를 둘러싼 환경과 위협 유형, 개념 및 영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보건, 사이버 등 초국적으로 발생하는 새로운 위협을 이해하기 위해 신안보(emerging security) 개념을 제시 한다. 신안보 위협은 전통적인 위협과 달리 주적 개념의 부재, 예측 불가성, 광범위한 파급효과 등을 특징으로 한다. 코로나19로 인해 미중 패권 경쟁이 심화되면서 인간안보의 중시, 안전문제의 안보화, 군사력이 아닌 위기대응력의 중시, 안보 주체의 다양화 등 변화의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 한편, 신안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거버넌스를 통한 위기관리 능력 강화, 위험 소통 강화, 리스크 관리 외교 등을 해결방안으로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es of emerging security threats and changes in the national security paradigm that occur after the Corona 19 incident and to suggest countermeasures. The Corona19, called “Pandemic,” has a profound impact o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national security, the types of threats, concepts and domains.
This study presents the concept of emerging security to understand transnational threats such as health, cyber, etc. Unlike traditional threats, the threats of emerging security features the absence of the main enemy concept, unpredictability and widespread ripple effects.
As the competition for hegemony between the U.S. and China intensifies due to the Corona 19, the characteristics of security changes are emerging, such as the emphasis on human security, the mutual penetration of security and security, the emphasis on crisis response rather than military force, and the diversification of security players.
Meanwhile, in order to counter such security threats, measures such as strengthening crisis management capabilities through governance, strengthening risk communication, and risk management diplomacy are proposed as solu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위험사회와 새로운 안보 위협의 등장
Ⅲ. 코로나19에 따른 국가안보 변화 양상
Ⅳ. 신안보 위협 대응 방안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디지털게임연구 제1권 제1호 목차
- 비주얼 노벨 게임의 장르적 정체성과 매체 특수성 연구: 미스터리·호러 장르를 중심으로
- 게임 이용 중 멀티태스킹이 몰입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장르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