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년성인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
이용수 327
- 영문명
- Influencing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Middle-aged Adults: A Secondary Data Analysis from the 2016-201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고운(Kim, Go-Un) 김수진(Kim, Soo Jin)
- 간행물 정보
- 『Nursing & Health Issues』제25권 제2호, 83~9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and influencing factors among Korean middle-aged men and women through the use of national health statistics. Methods: This study employed statistical data extracted from the 2016-201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subjects were 3,008 middle-aged men and women, aged 40-65 years. The following variables were included in survey items: marital status, education, current employment status, income, living arrangement, smoking, drinking, sleep duration, chronic disease, depression, and counselling. Data were analysed utilizing a complex sampl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WIN 25.0 program. Results: The 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was found to be 3.0% in middle-aged men and 5.1% in middle-aged women. Influencing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among middle-aged men included current employment status (OR=0.44, 95% CI=0.20∼0.96) and whether they had received counselling (OR=9.38, 95% CI=2.47∼35.54), while other factors such as high income levels (OR=0.35, 95% CI=0.13∼0.93), upper-middle income levels (OR=0.35, 95% CI=0.16∼0.77), if respondents were drinkers (OR=3.18, 95% CI=1.20∼8.47), and if they had received counselling (OR=8.58, 95% CI=1.79∼41.04) were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among middle-aged wome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fluencing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in Korean middle-aged men and women are different. Therefore, taking these findings into consideration, it may be helpful to tailor interventions according to gender. In addition, healthcare providers should assess suicidal ideation and provide interventions without discriminating against those who receive mental health counselling,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men or women.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임상 간호사의 환자 및 보호자로부터의 폭력 경험 실태와 폭력 경험별 대처 방법
-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셀프리더십에 관한 연구
- 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간호와 보건연구’ 게재논문의 연구동향 분석(1996∼2018년)
-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능력 및 비판적 사고성향이 데이트폭력 허용정도에 미치는 영향
- 수간호사의 리더십 유형, 간호업무성과, 간호조직문화에 대한 연구
- 플립드러닝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자존감, 의사소통능력,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성향점수매칭을 이용한 경도인지장애군과 정상군의 특성 비교
- 중년성인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생산직 근로자의 수면시간이 심혈관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20년도) 기반으로
-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인간중심돌봄 간의 관계에서 소진과 공감역량의 매개효과
- 병원간호사가 인식하는 긍정간호조직문화, 잡크래프팅, 직무열의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