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담자가 지각한 면접교섭 서비스 실천의 이슈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이혼 사례들을 중심으로-
이용수 655
- 영문명
- Practical Issues of Child Visitation Services as Perceived by Counselors working with Divorced Families at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 저자명
- 박정윤(Jeong-Yun Park) 전영주(Young-Ju Chun) 강소현(So-Hyun Kang) 서정은(Jung-Eun Seo)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28권 제2호, 183~20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실시된 면접교섭 서비스 사례들을 중심으로 상담자가 지각한 면접교섭 서비스 실천의 이슈들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부산, 광주, 여주 등 세 지역 건강가정지원센터 3곳에서 면접교섭 서비스를 진행한 상담자 5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상담자가 지각한 면접교섭 서비스의 단계별 이슈와 면접교섭 서비스 유형별 이슈, 면접교섭 운영관리의 이슈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면접교섭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단계 중 초기단계에서는 면접교섭의 구조화와 라포 형성이 강조되었다. 면접교섭 중기단계에서는 갈등의 수준, 자녀의 성별, 다문화가족 등의 맥락에 따라 서비스제공에 차별화를 두어야함이 강조되었다. 종결 및 추후 관리 단계에서는 지속적 면접교섭을 위한 후속조치에 대한 이슈가 드러났다. 둘째, 면접교섭 서비스 유형별 이슈로 인도지원, 연락조정, 모니터링, 지원적, 상담치료 서비스 등 면접교섭 서비스 유형에 따른 다양한 이슈들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면접교섭 운영관리의 이슈로 상담자 역할 및 역량, 면접교섭 서비스의 횟수, 물리적 환경 및 시설 보강 등이 논의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건강가정지원센터에 적합한 면접교섭 서비스 운영 연계 모델을 제시하고 면접교섭 서비스 운영에 있어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 점검할 수 있으며, 면접교섭 서비스의 지역 확산을 통한 전국 단위 맞춤형 서비스로서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paper examines counselors’ perceived issues of child visitation services conducted at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HFSC).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done for 5 counselors of three HFSCs (Busan, Gwangju, Yeoju), who worked in child visitation services. The qualitative data collected from 5 counselors were analyzed. Results: First, practical issues of child visitation were analyzed by stage of visitation, and different factors were emphasized depending on the stage. Second, practical issues of child visitation were analyzed by type of visitation such as connecting/mediation, monitoring, support/education and counseling/therapy. Third, number of visitation services, quality of counselors, and environment and facilities of HFSC were indicated as the issues of operation and management of child visitation. Conclusions: The child visitation model based on HFSCs was suggested, and some issues of operating child visitations at HFSC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혼기 부부 예방적 단기상담에서 PREPARE/ENRICH-CV 활용 상담과 통합적 부부상담의 효과와 내담자 경험 비교 연구
- 신혼기 기혼남녀의 심리내적 변인이 부부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노인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부의 정서적 상호작용과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 화상환자 가족의 보호부담 완화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국내 상담 슈퍼비전 연구의 동향 - 이전 시기(1998년∼2008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 농인(聾人)의 부부적응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 상담자가 지각한 면접교섭 서비스 실천의 이슈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이혼 사례들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