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화상환자 가족의 보호부담 완화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이용수 641
- 영문명
- Development of Group Counseling Programs to Ease the Burden of Family Care for Burn Survivors
-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 저자명
- 박현선(Hyun-Sun Park) 박선화(Sun-Hwa Park) 황세희(Se-Hee Hwan)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28권 제2호, 207~22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입원 화상 환자 가족들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보호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원조 하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외상 후 성장 치료 모델인 번영(THRIVE)모델을 기반으로 프로그램의 내용을 일차 구성하였고, 시범 운영 프로젝트를 통해서 수정, 보완했다. 시범운영 프로젝트의 평가는 과정에 대한 형성평가와 산물평가, 변화만족도 평가로 구성되었다. 시범운영 과정에 대한 형성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의 구조와 전략을 수정, 보완했다. 산물평가 결과, 집단 참여자들의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보호부담과 우울 점수가 사전에 비해 사후에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안녕감의 총점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결론에서는 입원기간 중 프로그램 참여로 나타난 긍정적인 변화를 유지하고, 외상 극복의 성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퇴원 이후에도 지속적인 가족 기반의 지원과 상담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alleviate the physical, social and emotional burdens of families caring for hospitalized burn survivors. Method: This program was theoretically developed based on the THRIVE Model and was modified through the feedback of the pilot project. Evaluations of the pilot project consisted of a formative evaluation of the three groups, pre-post testing of outcomes, and program satisfaction surveys. Results: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significantly reduced the physical, social and emotional burdens and depression of families caring for hospitalized burn patients. This program also increases psychological well-being. Conclusion: We suggested that this group counseling program needs to be conducted after discharge in order to continue positive changes toward growth.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형성 평가 결과
Ⅴ. 산물 평가 결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혼기 부부 예방적 단기상담에서 PREPARE/ENRICH-CV 활용 상담과 통합적 부부상담의 효과와 내담자 경험 비교 연구
- 신혼기 기혼남녀의 심리내적 변인이 부부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노인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부의 정서적 상호작용과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 화상환자 가족의 보호부담 완화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국내 상담 슈퍼비전 연구의 동향 - 이전 시기(1998년∼2008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 농인(聾人)의 부부적응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 상담자가 지각한 면접교섭 서비스 실천의 이슈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이혼 사례들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