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계발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69
- 영문명
- The Effects of Disney s Educational Programs on Children s Creativity Development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래은(Kim, Rae-eun) 현혜정(Hyun, Hye-jung)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연구』제22권 제1호, 147~17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8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계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디즈니 애니메이션과 창의성에 대한 문헌과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20개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해 D시에 소재한 K 유치원의 만 5세 유아 51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은‘재미 솔솔-호기심 팍팍-생각 쑥쑥-창의성 UP-Fun & Talk’의 5단계로 구성하여 20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창의성 측정도구 TTCT(도형)를 실시하였고, 창의적 인성을 측정하기 위해 유아용 창의적 행동특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의한 차이로 창의성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의한 차이로 창의적 인성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만 5세 유아의 창의성 및 창의적 인성 계발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sney s educational programs on children s creativity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20 educational programs using Disney s animation were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es on Disney s animation and creativity.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 studied 51 children. Aged 5 years old in K kindergarten in D city. The educational program using Disney s animation was conducted in 20 sessions, consisting of five stages of Fun Solsol-Curious Pakkak-Thinking Mugwort-Creativity UP-Fun & Talk . As a research tool, TTCT (figure) was measured, and creative behavioral characteristics test for children was conducted to measure creative personality. As a result,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educational program using Disney s animation was applied showed a higher creativity score than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applying the educational program using Disney s animation showed higher creative personality score than the comparison group. This means that educational programs using Disney s animations are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creative personality of children aged 5 yea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뉴실버세대의 디지털 자서전 사례 분석
- 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 교육을 위한 학교의 지원 중요성 분석
- 도덕과를 통한 제주4·3교육 방안모색
- 중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종목별 특성 분류에 따른 하지 근력 분석
-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계발에 미치는 영향
- 성취기준을 바라보는 초등교사의 관점과 해석
- 수업 중간평가를 통한 수업 내용 이해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습 요인 탐색
- Comparison Research on Mathematical Knowledge for Prospective Teachers: Focus on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 Selection Tests in Korea and China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