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두리 갯벌 퇴적 유기물의 기원과 특성
이용수 41
- 영문명
-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Sedimentary Organic Matter on Sindu-ri Tidal Flat, Korea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신우석(Woo Seok Shin)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22권 제2호, 59~6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신두리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기원을 추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갯벌의 3지점(Stn. A, B, C)에서 입도, 유기물 함량, C/N비 및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퇴적물의 공간적 변화에서 유기물은 퇴적물 미립자 함량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모래 갯벌인 지점 A에서는 해양 미립자 유기물(해양 POM)과 어류 양식장 미립자 유기물(어류 양식장 POM)에서 비롯된 유기물의 퇴적 특성을 보였고, 펄 갯벌인 지점 C에서는 육상식물(TP) 과 저서미세조류(BMA)의 유기물 퇴적 특성을 보였다. 한편 혼합갯벌인 지점 B에서는 지점 A와 지점 C 중간적인 해양POM과 저서미세조류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또한 퇴적물 내 유기물의 양과 기원은 공간적 변화에 의존하며 그 요인은조사지점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지점 C의 퇴적물은 육상유기물과 펄 미립자(< 63 ㎛)로 높은 TOC 농도를 보였다. 이러한 사실은 미립자 함량과 유기물질이 지점 C의 퇴적환경 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origin of organic matter on sediment at Sindu-ri tidal flat. Grain size, organic matter, C/N ratio and the 13C and δ15N ratio were measured at three stations (Stn. A, B, C) of the tidal flat. As a result, the spatial variation in sediment properties showed that organic matter was related positively to the sediment mud content. Organic matters originating from marine particulate organic matter (marine POM) and fish farm particulate organic matter (fish farm POM) showed sedimentation of organic matters at Stn. A, sandy tidal flat, though terrestial plant (TP) and benthic microalgae (BMA) did at Stn.C, muddy tidal flat. Meanwhile, Stn. B, the intermediate property of Stn. A and C, was affected by marine POM and BMA. Furthermore, it was revealed that the amount and origin of organic matters in the sediments depended on spatial variation, and the factors were different from the stations.
Particularly, at the Stn. C, the sediment showed high concentration of TOC in terrestrial organic matter and smaller size particles (< 63 ㎛). These facts suggest the many small size particles and organic matter will affect the sediment environmental condition in the Stn. C.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MASS FLOW 모델링을 통한 댐상류지역의 공공하수처리시설 공정개선방안
- 침투도랑 토양치환의 물순환 및 비점오염물질저감 효과 평가
- 저낙차에서 와류발생부를 구비한 마이크로 소수력에 관한 실험 연구
- Characteristics of reproductive effect and phenology of Polygonatum stenophyllum grown in riverside in Paju-si
- 부산광역시 해안사구의 식물다양성과 식생 특성
- 딥러닝을 활용한 산지습지 수위 예측 모형 개발
- 생물 및 비생물적 요인이 쥐방울덩굴의 생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
- 하수처리장에서의 연계처리수 요금 개선에 따른 경제성 분석
- 신두리 갯벌 퇴적 유기물의 기원과 특성
- 수변 경계종인 쥐방울덩굴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 하수처리장에서의 고농도 연계처리수에 대한 요금 개선 제안
- 한국의 묵논에서 멸종위기식물의 복원생태학적 연구 및 서식지 관리방안
- Development of a Multifunctional Design Concept to Improve Constructed Wetland Performance
- A comprehensive review of microplastics: Sources, pathways, and implications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지구통계 역산해석 기법을 이용한 충적층 수리전도도 분포 추정 및 지하수 유동 경로 규명: 유계저수지 사례 연구
- 서울 안정사지 마애불·명문·약사불의 암석학적 특성과 손상도 평가
- Deriving Geotechnical Parameters for Foundation Design in Ea Trang, Vietnam, through Combined Seismic Method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