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산광역시 해안사구의 식물다양성과 식생 특성
이용수 91
- 영문명
-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and Plant Diversity of Coastal Sand Dune in Busan Metropolitan City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박지원(Ji-Won Park) 이승연(Seung-Yeon Lee) 이응필(Eung-Pill Lee) 김의주(Eui-Joo Kim) 박재훈(Jae-Hoon Park) 이정민(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22권 제2호, 66~72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해안사구는 해양생태계와 내륙생태계의 전이대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풍부한 생물다양성을 내재하고 있지만, 간척, 매립, 관광객 증가 등의 서식처 교란으로 인해 고유생태계가 크게 훼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의 7개 해수욕장에서 식물상, 식생을 조사하고 경관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산시 해안사구의 관속식물상은 57과 140속 162종 15변종 1품종의 17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7개 해수욕장 중 4개(57%)에서 자연식생이 전혀 발견되지 않을 정도로 식생경관이 훼손되어 있었다. 해안사구식생은 좀보리사초군락, 통보리사초군락이 우점하였다. 염생식물과 귀화식물은 각각 18분류군(전체 출현종 10%), 40분류군(전체의 22%)이었다. 가장 넓은 면적을 이루는 식생은 염습지의 갈대군락이었고, 염생식물 종수는 습지면적이 증가함에따라 증가하였다. 이것은 이 지역의 고유한 식물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염습지의 유지와 관리가 중요함을 뜻한다.
영문 초록
The coastal sand dunes hav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marine and inland ecosystems, and they have abundant biodiversity.
This study investigated flora and vegetation and analyzed the landscape structure at seven beach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the vascular species of the coastal sand dunes in Busan were identified as 178 taxa of 140 families.
Vegetation landscape was damaged to the extent that no natural vegetation was found in 4 of 7 beaches (57%). The coastal dune vegetation was dominated by the Carex pumila community and Carex kobomugi community. The halophyte and invasive alien species were classified into 18 taxa (10% of all species) and 40 taxa (22% of all), respectively. The vegetation that made up the largest area was the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of the salt marsh, and the species number of halophyte increased as the wetland area increased. This means that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salt marshes is important to conserve the unique plant diversity of the region.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MASS FLOW 모델링을 통한 댐상류지역의 공공하수처리시설 공정개선방안
- 침투도랑 토양치환의 물순환 및 비점오염물질저감 효과 평가
- 저낙차에서 와류발생부를 구비한 마이크로 소수력에 관한 실험 연구
- Characteristics of reproductive effect and phenology of Polygonatum stenophyllum grown in riverside in Paju-si
- 부산광역시 해안사구의 식물다양성과 식생 특성
- 딥러닝을 활용한 산지습지 수위 예측 모형 개발
- 생물 및 비생물적 요인이 쥐방울덩굴의 생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
- 하수처리장에서의 연계처리수 요금 개선에 따른 경제성 분석
- 신두리 갯벌 퇴적 유기물의 기원과 특성
- 수변 경계종인 쥐방울덩굴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 하수처리장에서의 고농도 연계처리수에 대한 요금 개선 제안
- 한국의 묵논에서 멸종위기식물의 복원생태학적 연구 및 서식지 관리방안
- Development of a Multifunctional Design Concept to Improve Constructed Wetland Performance
- A comprehensive review of microplastics: Sources, pathways, and implications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지구통계 역산해석 기법을 이용한 충적층 수리전도도 분포 추정 및 지하수 유동 경로 규명: 유계저수지 사례 연구
- 서울 안정사지 마애불·명문·약사불의 암석학적 특성과 손상도 평가
- Deriving Geotechnical Parameters for Foundation Design in Ea Trang, Vietnam, through Combined Seismic Method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